다양한 이용방식 인공위성의

안녕하세요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레미레미 도레미입니다 지구 같은 행성 주위는 돌 수 있도록 로켓을 이용해 발사한 인공장치를 ‘인공위성’이라고 표현하는데 간단하게 인공위성의 역사와 원리, 그리고 인공위성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들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가장 먼저 봐야 할 사항이고 인공위성의 첫 등장은 제2차 세계대전 때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해군이 약했던 독일은 영국을 공격하기 위해 로켓을 발사하게 되고 영국 런던을 공습하기 시작했습니다.하지만 곧 로켓이 날아오는 곳을 발견한 연합군이 기습공격으로 해결하게 되고, 이후 러시아가 로켓기술을 이용해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합니다.계속 미국과 러시아가 앞다퉈 우주 개발에 나선 결과 오늘날 인공위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시작은 전쟁에서 시작되었는데요.인공위성의 원리는 무엇일까요?인공위성이 지구 주위를 계속 도는 데 에너지가 얼마나 필요할까요?정답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뉴턴의 관성법칙과 지구의 중력 때문에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아요.

인공위성을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은 굉장히 다양하다고 볼 수 있죠.

  1. 상대의 정보를 몰래 볼 수 있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인공위성을 발사하면 그 기술을 전쟁에 이용하는 것이 아닌가 세계가 놀랄 때가 있는데 카메라를 장착해서 적국의 군사기밀을 훔쳐볼 수 있습니다. 네. 첩보위성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2. 날씨는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 뉴스에서 일기예보를 할 때 한국을 지나는 구름 모양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기상위성에서 90분 간격으로 찍어서 보내는 사진 덕분에 날씨를 추측할 수 있어요. 태풍의 이동 경로와 비의 양, 바람 등의 기상 정보를 예측해 줍니다.

3. 위치를 알려줍니다.- 위치정보를 담은 전파를 발사해 선박과 비행기, 개인까지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는 위성이어서 GPS(인공공항법장치) 위성으로도 불린다.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GPS도 항행성을 이용한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GPS가 처음에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됐지만 현재는 일반인은 물론 항공기 관제 및 지진, 감시, 구조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주를 관측하기 위한 천문위성의 기능도 있습니다.- 우주의 변화와 다양한 현상을 관찰하기 위한 과학위성입니다.천문학에서 인공위성은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이것을 우주망원경이라고 합니다!이 우주 망원경은 지구상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천체나 잘 보이지 않는 천체를 볼 수 있게 해줍니다! 전 세계 천문대 건설 비용보다 더 많은 것을 투자한 허블 우주 망원경도 인공위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은 한국 별 1호입니다.1992년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1호”가 발사되었는데, 우리별 1호는 영국 솔레이대학의 기술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별이 발사된 지 3년 후에는 1995년에 무궁화 위성이 발사되었습니다.우리의 별 1호가 저궤도 위성인 반면 무궁화 위성은 정지궤도에 발사돼 위성방송, 위성중계, 위성통신 등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2009년에 우리 위성이 발사되었는데, 바로 나로호죠.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