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폴더블폰 갤럭시Z플립 완판 수혜주KH버텍(힌지) 비에이치(FPCB) 켐트로닉스(강화유리) Z효과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02/188163/”일할 만합니다.” 최근 IT업종 애널리스트들이 스마트폰 부품업체 탐방을 가서 자주 듣는다는 얘기다. 휴대폰 산업은 기술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다. 그만큼 부침이 많아 실적 변동성이 높다.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 시장이 침체기를 맞는 www.mk.co.kr

“일할 만해요.

최근 IT업종 애널리스트들이 스마트폰 부품업체 탐방을 가서 자주 듣는다는 얘기다. 휴대전화 산업은 기술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다. 그만큼 부침이 많아 실적 변동성이 높다.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 시장이 침체기를 겪었을 때는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야 했다.

꾸준한 연구개발(R&D) 투자로 절치부심했던 IT 부품업체에는 올해가 기회다. 화면이 접히는 폴더블폰이 본격적으로 개화하면서 속속 흑자 전환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덕분이다. 특히 삼성전자의 두 번째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Z 플립’이 출시와 동시에 ‘완판(완전판매)’ 행진을 보이자 관련 부품주들이 주목된다. 기존 스마트폰 폼팩터(하드웨어 크기·형태)로는 더 이상 차별화가 어렵다는 점에서 스마트폰 시장의 무게 중심이 폴더블폰으로 넘어가는 속도가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갤럭시Z플립은 시장에 나온 첫날인 2월 14일 국내에서 삼성닷컴을 통해 판매된 자급제 물량이 품절된 데 이어 미국, 스페인, 아랍에미리트(UAE), 싱가포르, 프랑스 등 1차 출시국에서 완판됐다. 업계에서는 갤럭시Z플립의 초도 물량을 2만~3만대 수준으로 보고 있다. 전작인 갤럭시 폴드의 10배 정도 수준이다. 갤럭시 폴드보다 물량이 상당 부분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진 속도가 더 빨라졌다는 점이 주목된다.

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량이 늘고 평균판매단가(ASP) 상승 효과가 뚜렷해질 것으로 보여 폴더블폰은 지난해 50만대에서 500만대로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증권가에서는 관련 종목의 실적 개선 가능성에 주목한다. 수년 전만 해도 수율 등의 문제로 양산이 쉽지 않아 수익 기여도가 미미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는 진단이다.

최근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종목은 KH바텍이다. 현재 주가는 2만6000원 안팎으로 지난해 7~8월 저점이었던 7000원대와 비교하면 7개월 만에 3배 이상 올랐다. KH바텍은 일종의 경첩 역할을 하는 힌지(hinge) 부품 관련 기업이다. 힌지는 폴더블폰의 두 패널을 접고 펴는 데 이음매 역할을 한다.

이 회사의 굴곡진 스토리는 드라마틱하다는 표현이 딱 맞다. 2000년대 중반 KH바텍은 당시 세계 최대 휴대전화 제조업체인 노키아에 힌지를 납품했다. 위아래가 겹치는 폴더형 휴대전화에는 힌지가 필수 부품이었다. 하지만 직사각형 스마트폰 시대로 접어들면서 혹독한 위기를 겪었다. ‘죽음의 계곡’을 견디지 못한 대부분의 힌지 기업이 이때 퇴출됐다.

그런 가운데 등장한 폴더블폰은 기사회생의 기회가 됐다. 폴더블폰 기술의 발달로 접는 횟수가 늘어나면 힌지 공급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

KH바텍은 삼성전자의 폴더블폰용 힌지 제품을 개당 약 30달러 수준에 납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폴더와 슬라이드형 힌지 가격의 10배에 달하는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교보증권이 보고서에서 이 회사를 “힌지 분야에서 살아남은 마지막 승자”라고 표현한 배경이다. 증권가에서는 KH바텍이 올해 매출 3430억원에 흑자 460억원을 낼 것으로 전망한다.

여기에 내장 힌지를 만드는 파인테크닉스의 주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파인테크닉스도 올해 흑자전환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본격적인 폴더블폰 혜택으로 올해 매출은 전년보다 76% 늘어난 2332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BH는 OLED 패널에 사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과 경성인쇄회로기판(RFPCB)을 생산하는 부품기업이다. BH는 삼성디스플레이를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으며 폴더블 OLED 패널 채용이 늘면서 수혜가 예상된다.

스마트폰용 필름 전문업체인 세경하이텍의 주가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폴더블폰은 펼쳤을 때 기존 스마트폰보다 훨씬 크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뒷면을 덮는 외부 보호필름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예측이다. 세경하이텍은 주요 폴더블폰에 적용되는 특수보호필름 1차 벤더로 납품을 진행하고 있다.

초박형 강화유리(UTG·울트라씽글래스) 제조사도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첫 폴더블폰인 갤럭시 폴드의 휘어지는 화면 소재로 플라스틱을 사용했다.

하지만 향후 갤럭시의 상징과도 같은 ‘S펜’을 사용하는 수준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기존 투명 PI(Polyimide) 필름 보호막 디스플레이 구조로는 어렵다는 분석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반면 삼성전자는 갤럭시Z플립부터는 얇은 유리를 활용했다. 유리는 플라스틱 필름보다 충격과 스크래치에 강하다.

화면을 보호하는 초박형 강화유리 제조사인 켐트로닉스는 올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53% 증가한 46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업체 이녹스 첨단소재도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노린다. 이녹스 첨단소재는 2017년 이녹스에서 인적분할돼 설립됐다.

#폴더블 #폴더블폰 #폴더블폰수혜기 #갤럭시Z플립 #KH바텍 #힌지 #경첩역할 #부품 #KH바텍 #외장 #외장힌지 #화인테크닉스 #내장힌지 #부품 #세경하이테크 #스마트폰용필름 #특수보호필름 #폴더블폰용특수보호필름 #켐트로닉스 #초박형강화유리 #UTG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