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색소변성, 시신경위축, 안구건조, 야맹증, 녹내장, 시야축소, 눈의 자부심, 시력장애, 시야흐림, 눈충혈, 백내장

질병, 질환이 가진 특징 중 하나가 진행형이라는 거죠. 어떤 질환이 유발돼서 아픈데 어느 순간 어느 시점에 멈추지는 않죠. 계속해서 질병이 깊어지고 나아가 2차 질환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가진 질환은 방치하지 않고 인지되면 빠른 시일 내에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아 현재 증상에 맞는 치료와 함께 예방을 위한 노력을 함께 기울여야 합니다. 망막 색소 변성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망막색소변성 같은 경우는 3대 실명 중의 하나로 꼽힐 정도로 예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초기 증상 등을 잘 알고 그 증상 등이 인지되면 늦지 않게 신속하게 대응해야 하는데요. 이러한 망막 색소 변성의 대표적인 증상은 야맹증과 시야 협착을 말합니다.

우리 눈에 망막은 가장 중요한 부위라고 하는데 아마 이견은 없을 것 같습니다. 안구에 들어온 빛의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 시신경을 통해 우리 두뇌로 전달하는 일을 하니까요. 바로 그런 망막의 시세포층이 어떤 이유로 퇴행하면서 발발하게 되는 것이 망막 색소변성으로 인구 약 4천 명당 1명꼴로 발생하기 때문에 조금 희귀한 질환이긴 하지만 결코 제가 그것을 피할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망막 색소 변성은 왜 발생하는지 그 메커니즘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통계를 통해서 유전자 이상으로 원인을 지적하고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가족 중에 해당 질환에 대한 가족력을 가지고 있다면 정기적인 검사 등을 통해서 이를 체크해 볼 필요가 있는데 안타깝게도 가족력 없이 단독으로 이런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 집에는 망막색소 변성을 앓은 사람이 지금까지 없었다~라고 무조건 안심할 수도 없습니다.

초기에는 대체로 야맹증을 나타내는 망막색소변성은 밝은 곳에 있다가 어두운 곳에 갔을 때 여전히 사물 등을 전혀 구분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보통은 어둠에 적응하면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대략적인 주변물이 인지되지만 망막색소변성으로 야맹증이 생기면 시간이 지나도 시각세포에 생긴 문제로 인해 이를 구분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런 시각세포 이상은 낮이라고 해도 무조건 괜찮은 것은 아니고 빛에 대한 적응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눈부심 현상을 심하게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처음에는 시야 바깥쪽에서 사물이 잘 보이지 않는 시야 축소가 시작되고 나중에는 해당 현상이 중심 시야 쪽으로까지 전달되며 나중에는 터널 시야처럼 보이고 결국에는 영구적인 시력 장애에 이를 수 있으므로 이상 증상이 감지되면 질병의 진행 과정을 늦추고 멈추기 위한 치료를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앞서 언급했듯이 망막 색소변성은 진행형이기 때문에 치료를 하는데 있어서 개선과 예방에 모두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우선 아직 남아 있는 시각세포의 유지를 위해 시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합병증을 예방하고 또 이미 많이 진행된 부분이라면 지금 상태에 맞게 눈에 적응하고 생활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도와주므로 좌절감 없이 빠른 치료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