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부터 천문학 혁명까지 우리가 잘 몰랐던 천문학 이야기 임진영 지음 16세기 천문학자 그룹은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설과 직면하면서 선택적 기로에 서게 됐다.첫째, 기존의 패러다임을 고수한 채 몇 가지 모순점을 제거하기 위한 코페르니쿠스 태양중심설의 부분적 응용, 둘째, 기존의 시스템을 완전히 폐기하고 코페르니쿠스 태양중심설의 적극 수용, 셋째, 철저하게 기존 패러다임을 고수할 것, 특히 기독교 신학자와 정통 아리스토텔레스 추종자들은 17세기 후반까지도 그들의 우주론을 쉽게 포기하지 않았다.
17세기~19세기 교회의 반응
처음부터 태양중심설과 기독교세력과의 논쟁의 요지는 지구 태양 행성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사실적인 물음에 관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가 더 이상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것, 즉 인간 세계가 더 이상 모든 만물의 중심이며 최우선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과 그럴 수 없다는 것의 대립이었다.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설이 소개된 후 티코, 케플러, 갈릴레이를 거쳐 신성, 혜성, 목성의 위성, 금성의 위상, 태양의 흑점 등 여러 현상이 재해석돼 연구되자 교회 당국은 한꺼번에 밀려드는 반신앙적 공격을 효율적으로 방어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