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을 보지 않다[책] 2255 : 천문학자는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고 무엇을 보는가!(웃음)

일단 별에 대한 정의를 백과사전에서 찾아보면 별은 행성 위성 혜성 유성을 제외한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다. (중략) 우리 태양계에서 이런 크기에 빛과 열을 내는 별로는 태양이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행성, 위성, 혜성, 유성은 무엇인가…

[태양 주위를 돌면 행성, 그 행성 주위를 돌면 위성, 위성은 아니지만 행성보다 작으면 소행성, 가끔 태양 주위에 다가와 먼지와 연기를 퍼뜨리며 지나가면 혜성이었다. 그런데 관측기기도 기술도 발전하면서 그러한 대강이 분류에 속하지 않는 예외가 많이 발견되었다. 명왕성 근처에서 비슷한 천체가 다수 발견되자 그들의 정체성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중략) 2006년에 그 기준을 정하게 되었다. 태양 주위를 도는 둥근 천체 중 궤도를 독점하면 행성, 궤도에 이웃이 있으면 왜소행성으로 결정하고 명왕성은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다.-p242

저자 심채경은 달을 연구하는 천문학자다.나는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우리나라에 행성을 연구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몰랐다. 심채경이 박사 학위를 받은 타이탄은 토성의 위성이지만 한국에서 유일하게 그녀만이 이 위성을 연구했다고 한다. 하긴 하늘에는 우리가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천체들이 있어서 그럴지도 모른다. 그런데 달은요?

다들 아시다시피 아폴로 11호가 1969년 달에 인류의 첫발을 내디딘 이후 달 탐사 계획은 쇠약해졌다. 그렇다고 달에 대한 연구는 꽤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닌 것 같다.

어쨌든 지금은 달 연구를 하고 있는 그녀는 좀 말도 안 되는 것 같기도 하다. 고등학교 때 연주 시차를 설명하던 선생님이 소년처럼 귀여워 보였다며 과학경시대회에 나가 상을 받았고 교수님이 별을 그리는 모습이 또 너무 귀여웠다고 한다. 그리고 과학서의 고전이라 불리는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아직 다 읽지 못해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왜?

[우주에 대한 칼 세이건이 경외와 찬탄이 담긴 글을 읽다 보면 그의 영혼이 돌아와 내게 말하는 것 같다. 여러분 우주는 정말 거대하고 광활한 곳입니다. 정말 멋지잖아요. 정말 대단하지 않나요? 과연 감동적이지 않을까요? 오, 여러분, 이 우주를 보세요. 모두 우주입니다!」그는 계속 놀란다. 독자가 마지못해 고개를 끄덕일 때까지 -p85]

그래서 그녀는 어쩔 수 없이 고개를 끄덕이는 것이 아니라, “죄송합니다, 제 감동은 제가 스스로 느낍니다” 이렇게 비스듬히 탔다고 스스로 말하면서 이렇게 묶는다. “장기 하식으로 말하면 천문학자가 <코스모스>를 다 읽지 않았더라도 뭐든 괜찮지 않을까?” 후후후후 멋있다!

이 책은 과학서라고 하기에는 에세이에 가깝지만 에세이라고 하기에는 또 과학적인 내용이 꽤 많이 나온다. 그리 어렵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해하는 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는 파트도 있다. 하지만 대체로 쉽게 읽을 수 있다. 그녀가 대학에서 강의하던 시절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잘 쓴다. 그리고 곳곳에 인용한 작가, 소설, 영화 등을 보면 그녀의 관심사는 매우 방대하다. 언젠가 TV에 나와서 조곤조곤 이야기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는데, 영상으로 먼저 접하고 책을 읽으니 그녀가 그렇게 조곤조곤 얘기해 주는 것 같아 좋았다.

[달을 연구하는 사람이 되고 나서는 달을 바라보다 보면 달이 그렇게 아름다운지 다시 생각하게 된다. 달에는 풍찬노숙의 역사가 담겨 있다. 대기와 자기장에 따뜻하게 감싸여 있는 지구와 달리 달은 어떤 보호막 없이 뜨거운 햇빛을 그대로 받아야 하는 곳이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크고 작은 돌덩어리들이 지구에서는 아름다운 빛의 궤적을 남기고 별똥별이 되어 타오르지만 달에서는 여과 없이 그대로 땅에 박힌다. 지금은 그런 유성들이 가끔 하나씩 떨어지지만 아주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면 달은 그리 조용하지 않았다.-p227

[그런 사람들이 좋았다. 사람들 눈에는 저게 도대체 몰인가 하는 생각에 즐겁게 몰두하는 사람들. 남에게 해를 끼치거나 정치적 다툼을 낳지 않는 대단한 명예나 부가 따라오는 것도 아니고 TV나 휴대전화처럼 보편적 삶의 방식을 바꾸는 영향력을 가진 것도 아닌 그런 것에 열정을 바치는 사람들. 신호가 도달하는 데만 수백 년 걸리는 곳에 하염없이 전파를 흘려보내 우주 전체에 과연 ‘우리뿐인가’를 깊이 생각하는 무해한 사람들. 나는 그런 사람들을 동경한다. 그리고 그들이 동경하는 하늘을, 자연을, 우주를 함께 동경한다. -p13]

나도 그런 무해한 사람들을 동경해.그리고 그들이 동경하는 하늘을 우주와 함께 동경한다. ^^

천문학자가 왜 별을 보지 않는지 궁금하다면 일독! 천문학자는 어떤 일을 하는지 알고 싶다면 일독을 권한다.어렵지 않은 과학서로 추천!

#심채경 #천문학자는별을안본다 #과학에세이 #에세이 #천문학자는무슨일을하는지 #별과행성은무엇이다른지 #재미있고쉬운천문학이야기 #책읽는즐거움 #몰입의즐거움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