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소화계] 간장애 (황달/바이러스성간염/A형간염/B형간염/간경변/문맥성고혈압/복수/식도정맥류출혈/문맥계간성뇌병증/간성혼수/복막염/간농양/간암)

황달(Jaundice) 혈중담즙색소(빌릴빈)의 과도한 축적으로 공막, 피부, 심부조직의 황색색소화(혈청내빌릴빈2~2.5mg/dL이상)된 상태

[1] 원인

  1. 용혈성 황달 : RBC 파괴 (수혈반응, 용혈성 빈혈, 심한 화상)
  2. 2. 간세포성 황달 : 간문제
  3. 3.폐색성 황달 : 간외담관 폐쇄

[2] 증상

노란색 공막과 피부, 점토색(회백색) 변, 홍차색 소변, 소양감, 피로, 식욕부진

[3] 진단 검사

  1. 직접빌릴빈,간접빌릴빈,총빌릴빈,urobilinogen,AST/ALT,PT,PT
  2. 2) 단백질, 콜레스테롤 수치

[4] 치료 및 간호 중재

  1. 원인질환 치료
  2. 2.피부손상위험관리(소양감)
  3. 1) 약물 투여: cholestyramine, 항히스타민, phenobarbital 투여
  4. 2) 치료적 목욕(녹말한분, 미지근한 물, 증조수 적용)으로 소양감 완화
  5. 3) 크림과 로션으로 피부건조 방지
  6. 4) 부드럽고 깔끔한 침구 사용, 가볍고 조이지 않는 옷과 면내 착용
  7. 5) 손톱 짧게 유지, 장갑 착용과 긁지 않도록 교육
  8. 3) 외과적 관리
  9. 1) 총담관조루술(choledochostomy)로 담즙배액
  10. 2) 담도 폐쇄 수술
  11.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바이러스 감염으로 식욕부진, 황달, 간비대 등을 초래하고 간세포 파괴, 괴사, 자가융해 등을 일으키는 간염증 질환

[1] 종류

  1. A형 간염
  2. 1) 원인균: RNA 바이러스
  3. 2) 잠복기 : 30일
  4. 3) 전파 경로 : 대변, 구강을 통해 전파
  5. 4) 고위험인자: 위생상 나쁜 곳, 가을과 초겨울에 흔한 오염된 음식이나 변
  6. 5) 예방법 : 노출 1~2주 이내 면역글로불린 주사(수동면역), 노출 전 간염 바이러스 백신 주사(능동면역), 개인위생 철저
  7. 2) B형 간염
  8. 1) 원인균: DNA 바이러스
  9. 2) 잠복기 : 6주~6개월 (평균 12~14주)
  10. 3) 전파 경로: 오염된 혈액, 타액, 모유 수유, 성적 접촉, 손상된 점막과 피부를 통해 전파
  11. 4) 고위험인자: 약물중독자, 혈액제품사용자, 수혈자, 동성애자
  12. 5) 예방법 – HBsAg 양성인 사람과 성 파트너의 경우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 HBIG 투여(수동면역) – B형간염자와 함께 거주시 또는 성 파트너에게 B형간염 백신 투여(능동면역) – 일회용침과 주사기 사용(사용후 뚜껑을 닫지 않고 폐기) – 주사바늘이 찔리거나 점막 접촉시 HBIG 투여 – 개인용품 공동 사용금지, 철저한 손세탁

[2] 증상

  1. 대부분의 경우 무증상
  2. 2) 잠복기 – 바이러스 노출 ~ 황달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의 의미 – 증상 : 권태감, 식욕부진, 피로, 오심, 간혹 구토, 우상복부 불쾌감, 두통, 미열, 관절통, 피부발진 등
  3. 3) 급성기-황달기 또는 비황달기-황달기: 빌리루빈이 조직으로 퍼지면서 공막, 피부에 황달증상, 소변색이 짙어지고 대변색이 점토색으로 변하며 소양증(담즙산염이 피부에 축적)
  4. 4) 회복기 : 황달이 사라지고 시작, 평균 2~4개월 지속, 권태감, 피로 호소

[3] 진단 검사

  1. 혈액검사
  2. 1) 간효소 : ALT(SGPT), AST(SGOT) 상승
  3. 2) Alkalinephosphatase : 상승 또는 정상
  4. 3) 혈청 총 빌리루빈: 상승
  5. 4) 프로트롬빈 시간: 지연
  6. 5) 백혈구: 호중구수 일시적 감소, 림프구 증가 후 감소
  7. 6) LDH: 상승
  8. 2) 간염바이러스 검사
  9. 1)형간염: 형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있으면 진단
  10. 2)형간염 – 혈액 중형간염 항원(HBsAg, HBeAg)이나 HBV 있으면 진단 – 항원검사 양성 + 무증상 : 보균자 – HBsAg(+): 전에 형간염에 걸렸거나 회복단계, 만성간염 상태 – HBsAg(-), HBsAg(-), HBsAb(-): 예방접종 필요 – HBeAg(+): 나는 주력이 없을 것
  11. 3. 간생검 : 염증 및 섬유화 정도 확인을 위해 시행

[4]치료나 간호 중재

  1. 휴식활동
  2. 1)의 침상 안정 : 급성기 동안에는 간 재생에 필수적인 간 대사 요구 감소시켜 혈류 증진 효과
  3. 2)견딜 수 있는 범위에서 활동하다가 효소치 증가하면 다시 활동 제한
  4. 2) 소양감 완화
  5. 1), 피부에 담즙색소 침착으로 심한 소양감 팔목
  6. 2)Cholestyramine, 항히스타민제, phenobarbital 투여
  7. 3)체온 상승과 발한 유발 운동 제한
  8. 4)전분목욕, 미온수목욕, 증조수 적용, 침구 및 의복, 청결도
  9. 5)손톱 짧게 유지 시원한 온도 유지
  10. 6)알칼리성 비누나 타이트한 옷 피하라
  11. 7)의 이완, 심상 요법
  12. 3. 영양보충 오심 해소
  13. 1) 식욕 부진 : 조금씩 자주 음식 제공
  14. 2) 구강간호, 쾌적한 환경 제공
  15. 3) 오심: 탄산음료,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을 피하거나 항토제 투여
  16. 4) 먹이: 저지방, 고탄수화물, 고칼로리, 적절한 양의 단백질 제공
  17. 5) 복합당질은 통밀, 과일, 채소 섭취 권장
  18. 6) 혈청암모니아 수치가 높은 경우: 저단백식이
  19. 7) 담관 폐쇄: 지방의 음식 제한
  20. 8) 수분 섭취 : 2,500~3,000mL/일
  21. 4. 손상예방
  22. 1) Prothrombintime이 지연되면 출혈의 위험(출혈증상의 사정)
  23. 2) 소변과 대변의 색상과 잠혈반응 사정, 점상출혈, V/S, PT, Hct, Hgb값 관찰
  24. 5. 약물요법
  25. 1) 약물은 간에서 해독되므로 간 휴식을 위해 약물 사용은 신중해야 한다(의사 처방 필수)
  26. 2) 경구용 항바이러스 제제: Lamibudine 사용
  27. 3) B형과 C형 간염 치료에 인터페론과 면역억제제 사용
  28. 4) PT 지연시 비타민K 보충제 투여
  29. 간경변(LiverCirrhosis,LC)간 전체에 상흔조직이 발생한 만성 간염으로 돌이킬 수 없는 괴사

[1] 병태 생리

  1.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간세포파괴, 간실질손상→ 간의 구조섬유화, 재생결절로 대치, 혈관구조변형
  2. 2)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질환으로 섬유증과 결절이 퍼지는 것이 특징

[2] 원인

알코올성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지방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담즙성 질환, 약물 및 독성 물질, 심혈관 질환, 대사성/유전성 질환

[3] 증상

간경화의 전신적인 증상 1. 초기 단계

  1. 잠행적으로 발생, 초기증상 모호, 비전형적
  2. 2) 식욕부진, 소화불량, 고장, 오심, 구토, 배설습관의 변화, 우상복부의 둔감으로 무거운 복통, 열, 권태감, 약간의 체중감소, 간과 비장의 비대, 간촉진
  3. 2) 진행단계
  4. 1) 영양 결핍으로 인한 복수, 문맥성 고혈압, 저알부민혈증, 고알도스테론증
  5. 2) 위장관출혈:식도정맥류,저프로트론빈혈증,혈소판감소증,맥맥고혈압으로발생
  6. 3) 간성 혼수를 초래하다
  7. 4) 비장 비대의 결과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8. 5) Estrogen과잉증상(손바닥홍반,spidernevi,모발분포변화,무월경,고환위축,여성형유방)
  9. 6) 출혈경향(PT지연,혈소판감소)
  10. 7) 감염, 황달, 간성뇌증, 회색변, 차색소변, 소양감

[4] 진단 검사

  1. 혈액검사 – 혈청 효소치 (AST, ALT, LDH) : 상승 – 알부민 : 저하 – PT : 연장 – A/Gratio (알부민/글로불린 비율) : 저하
  2. 2) 초음파검사
  3. 3) CT검사
  4. 4. 간생검 : 결정적 진단검사
  5. 1) 검사 전-승낙서, 출혈위험 대비 혈액응고검사(PT, PT, 출혈시간, 혈소판)-단식 6시간, 시행 전 활력징후 측정-금기: 심한 혈소판감소증, PT지연, 복막염, 심한 복수, 비협조적 환자, 간폐쇄성 황달(담낭천자 위험)
  6. 2) 검사시 – 국소마취, 앙와위, 측위, 허리둘레하에서 팔상승 – 움직이지 않도록 강조 – 바늘삽입시 호흡후 5~10초 정도 숨을 멈춘다 : 횡격막 파열예방 – 바늘제거 후 생검부위 압력 가하기 – 합병증 : 출혈, 장기천자, 횡격막천자, 담즙누출로 인한 복막염, 교차감염
  7. 3) 검사 후 – 활력징후는 2시간 15분마다, 다음 2시간은 30분마다 측정 – 출혈관찰, 오른쪽 상복부 통증관찰, 24시간 침상휴식 – 1~2시간 우측상단으로 검사부위를 압박하여 출혈, 담즙누출예방 – 처방받은 약물투약(비타민K 등), 호흡곤란관찰, 감염관찰

[5] 치료 및 간호 중재

  1. 휴식: 여러 개일 경우 잠자리 안정, 반좌위
  2. 2) 영양간호
  3. 1) 1일 요구되는 적절한 비타민, 고탄수화물, 고단백식, 저지방식, 저염식 제공(단 암모니아 수치 증가 시 여러 개일 경우에는 저단백식 제공)
  4. 2) 오심 시 구강간호 시행, 진통제 투여
  5. 3) 소량씩 자주 식사 제공
  6. 4) 알코올성 간경변증의 경우 비타민 B, 지용성 비타민 A, D, E, K 투여
  7. 5) 붓기, 수분정체가 있는 경우 염분과 수분섭취 제한
  8. 6) 이뇨제(thiazide 계열) 투여 시 칼륨이 풍부한 식사 섭취
  9. 3) 피부간호
  10. 1)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체위변경 및 로션을 발라 적당한 보습 및 청결유지
  11. 2) 열과 두꺼운 옷을 피하고 시원한 환경을 제공하며 부드러운 면옷, 미지근한 물욕조
  12. 3) 소양증시 완화제 도포, 항히스타민제 투여, 손톱은 짧고 청결하게 유지
  13. 4. 출혈간호
  14. 1) 출혈(치경출혈, 혈변, 혈뇨, 자반증, 토혈) 여부 관찰
  15. 2) 출혈예방 : 넘어짐, 외상으로 부터 보호, 가는침 사용, 주사 후 압박
  16. 3) 코를 세게 풀거나 용변 시 무리한 힘을 주지 않도록 교육

[6] 합병증의 치료 및 간호 중재

  1. 문맥성 고혈압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정맥 확장 1)문맥 혈관의 압력이 정상적인 5~8mmHg보다 상승할 때 발생

2)문맥 혈관계 폐색증으로 발생 → 맥관 내 압력 증가, 비장에 역행 → 비장 울혈과 비장대 발생 →의 혈관에서 알부민과 액체가 복강 내에 누출되어 측생 순환 형성 → 카미 복부 혈관 돌출, hemorrhoidalvein확장(치질), 식도 정맥류에 복부 잡음, 복수

2. 복수(ascites)

1)특성-복부의 체액이 축적된 상태-문맥 고혈압으로 정수 압이 조금 높아지고 혈관 내의 체액이 복강 내에 밀려나-혈장 단백질인 알부민도 혈관에서 밀려나고, 혈액 내의 알부민 감소

2)원인:고 알도스테론 혈증, 수분 배설 불능, 혈장 교반 압력 감소 등

3)증상:복부 팽만, 옆구리 팽창, 배꼽 부분

4)관리-식사 요법:저염식, 비타민 투여, 수분 제한(저 나트륨 혈증 시 1~1.5L/일)간성 뇌증이 없다면 적당량의 단백질을 포함한 식사-약물 요법:효과적 호흡 양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칼륨 보유 이뇨제(칼륨 배설시키는 lasix과 칼륨 보존한 aldactone병용 투여), 산소 투여, I&O측정, 몸무게와 복부 주변 측정-복수 천자:식사 제한과 약물 요법으로 여러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시행, Albumin투여하고 혈장 유지, 복수 배액은 천천히 시행, 여러 배가 전후 1~3L, 여러 배가 1~3L알, 잠자리의 머리를 30번 올리고 호흡 곤란을 완화-외과적 관리:우회술을 통해서 복수를 정맥계로 전환하는 시술을 실시

3. 식도 정맥류 출혈

1)병태 생리:글 맥박압 상승 → 혈액이 간에서 식도로 역류 → 식도 정맥 벽이 늘게 줄어들고 정맥류를 생성 → 정맥류 외 압력 증가시에 혈관 벽이 터져서 출혈 발생

2)정맥류 파열 요인:문 맥박압 증가, 흉곽 내 압력 증가(기침, 구토, 배변 시 건막)식품이나 알코올에 의한 자극, 위액에 의해밀란

3)증상:토혈, 혈변, 다량의 상부 위장관 출혈, 저 피 양성 쇼크, 간성 뇌증

4)관리-약물 요법:장기 작용 베타 차단제 투여 → 심박 수 감소, 간 정맥 혈압 저하 → 출혈 감소, vasopressin투여(혈압 상승 주의)-위 삽관:비 위관 삽입하고 위 세척(생리 식염수 이용)-내시경 치료:식도 정맥류 결찰, 경화제 주사 요법-수혈:출혈이 심할 경우 혈액 제제 주입(농축 적혈구 수혈)-Sengstaken-Blakemoretube삽입:괴사 팽창 때문에 정기적으로 풍선 상태에 대비하고 침구 상태 이상을 갖추고 침구 상태에 대비하고 침구 상태를 예방한다.맥류를 압박하고 작은 풍선은 위를 고정 → 식도 말단부와 위의 분 카토베 압박 지혈

4. 문맥계 간성 뇌병증(간성 혼수)

1)병태 생리-간질 말기에 발생(혈중 암모니아 수치 상승)-암모니아는 요소로 전환된 신장과 장을 통해서 배설되지만 간 기능이 손상과 독성 있는 암모니아를 요소로 전환하지 못하고 혈중 암모니아 농도가 상승하고 간성 뇌 병변증을 일으킨다.

2)암모니아 생성의 증가 상황:위장관 출혈, 고단백 식이, 신부전, 변비에 의한 장내 세균의 증가, 알칼리증, 죠칼류무 혈증, 마약, 진정제, 마취제, 이뇨제 투여, 수술, 급성 간 질환, 간염 등

3)증상:의식 장애, 진전의 증상 발생

4)관리-식이:저 단백, 단순한 탄수화물식이 제공, 식물성 단백질의 제공, 채소와 유제품이 풍부한 메뉴 제공하고 변비 예방과 암모니아 생성의 감소·약물 요법:Lactulose투여(암모니아를 이온화 → 장내 산도를 7에서 5로 감소 → 산도가 낮아지면 암모니아가 효루엑기에에 유입되지 않고 자리에 앉다 → 설사 유발 → 암모니아를 체외로 배설), 광역 항생제(Neomycin, Metronidazole)투여-정신 상태 평가와 신체 손상의 예방

5.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1)병태 생리:복수 있는 경우 세균에 대한 저항력 있는 혈중 단백질 농도가 낮기 때문에 급성 자발성 복막염에 쉽게 이환

2)증세:발열, 복통, 복부 압통, 경직, 정신 상태 변화 등

3)진단 검사:복수 천자를 통해서 복수 안의 세균 배양 검사 실시

4)치료:항생제 사용

간 농양(Hepatic Abscess)[1]원인

1)세균이나 아메바(원충 entamoeba histolytica)의 침입으로 발생

2)원인 균:대장 균 Klebsiella, 장내 세균, 살모넬라, 포도상 구균, 장구균 등

3)급성 담낭염, 간의 외상, 복막염, 패혈증 후 간에 균의 전파되고 발생 가능

[2]증세

1)3대 증상:발열, 우상 복부의 통증, 암 비데

2)상복부 통증과 함께 간이 언급하며, 통증은 어깨에서 복사

3)식욕 부진, 체중 감소, 오심, 구토, 오한, 호흡 곤란 등

[3]진단 검사

  1. CT, 초음파 진단
  2. 2) 간혈관조영술: 간농양과 악성종양 감별
  3. 3) 혈액배양검사(세균성 간농양), 변배양검사(아메바성 간농양)
  4. 4) 혈액검사 : WBC, ALT, AST, 빌리루빈 수치 상승

[4]치료나 간호 중재

  1. 세균성 간농양의 경우 배양검사 결과에 따라 항생제 투여
  2. 2) 아메바성 간농양의 경우 metronidazole 투여(혐기성 항균제)
  3. 3) 농양이 커지고 증상이 악화될 경우 경피적 배아 실시
  4. 4) 활력징후 관찰, 체액 및 영양섭취 유지
  5. 5)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
  6. 6) 철저한 무균술 적용
  7. 간암(Hepatoma) [1] 원인
  8. 1. 일차성 간세포성암 : 간 혈관조직 침입, 출혈유발, 혈액순환차단, 간조직괴사의 원인
  9. 2. 전이성 간암 : 간에 혈류가 많아 전이(문맥계를 통해 암세포 운반)

[2] 증상

  1. 초기에는 모호함(커지기 전에 임상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음)
  2. 2)식욕 부진, 발열, 위장관 징후(오른쪽 위 복부 불쾌감, 압통, 복부 팽만, 설사, 변비, 오심)
  3. 3)복수, 줄기 비대, 말초 부종, 덩어리, 마찰음, 잡음, 황달, 빈혈, 호흡계 문제

[3]진단 검사

1)혈액 검사-적혈구 및 백혈구:증가-ALP:증가(간 기능 저하)-A/Gratio(알부민/글로불린 비율):저하-AFP(alphafetoprotein):간 세포성 암 환자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정맥 확장 1)문맥 혈관의 압력이 정상적인 5~8mmHg보다 상승할 때 발생

2)문맥 혈관계 폐색증으로 발생 → 맥관 내 압력 증가, 비장에 역행 → 비장 울혈과 비장대 발생 →의 혈관에서 알부민과 액체가 복강 내에 누출되어 측생 순환 형성 → 카미 복부 혈관 돌출, hemorrhoidalvein확장(치질), 식도 정맥류에 복부 잡음, 복수

2. 복수(ascites)

1)특성-복부의 체액이 축적된 상태-문맥 고혈압으로 정수 압이 조금 높아지고 혈관 내의 체액이 복강 내에 밀려나-혈장 단백질인 알부민도 혈관에서 밀려나고, 혈액 내의 알부민 감소

2)원인:고 알도스테론 혈증, 수분 배설 불능, 혈장 교반 압력 감소 등

3)증상:복부 팽만, 옆구리 팽창, 배꼽 부분

4)관리-식사 요법:저염식, 비타민 투여, 수분 제한(저 나트륨 혈증 시 1~1.5L/일)간성 뇌증이 없다면 적당량의 단백질을 포함한 식사-약물 요법:효과적 호흡 양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칼륨 보유 이뇨제(칼륨 배설시키는 lasix과 칼륨 보존한 aldactone병용 투여), 산소 투여, I&O측정, 몸무게와 복부 주변 측정-복수 천자:식사 제한과 약물 요법으로 여러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시행, Albumin투여하고 혈장 유지, 복수 배액은 천천히 시행, 여러 배가 전후 1~3L, 여러 배가 1~3L알, 잠자리의 머리를 30번 올리고 호흡 곤란을 완화-외과적 관리:우회술을 통해서 복수를 정맥계로 전환하는 시술을 실시

3. 식도 정맥류 출혈

1)병태 생리:글 맥박압 상승 → 혈액이 간에서 식도로 역류 → 식도 정맥 벽이 늘게 줄어들고 정맥류를 생성 → 정맥류 외 압력 증가시에 혈관 벽이 터져서 출혈 발생

2)정맥류 파열 요인:문 맥박압 증가, 흉곽 내 압력 증가(기침, 구토, 배변 시 건막)식품이나 알코올에 의한 자극, 위액에 의해밀란

3)증상:토혈, 혈변, 다량의 상부 위장관 출혈, 저 피 양성 쇼크, 간성 뇌증

4)관리-약물 요법:장기 작용 베타 차단제 투여 → 심박 수 감소, 간 정맥 혈압 저하 → 출혈 감소, vasopressin투여(혈압 상승 주의)-위 삽관:비 위관 삽입하고 위 세척(생리 식염수 이용)-내시경 치료:식도 정맥류 결찰, 경화제 주사 요법-수혈:출혈이 심할 경우 혈액 제제 주입(농축 적혈구 수혈)-Sengstaken-Blakemoretube삽입:괴사 팽창 때문에 정기적으로 풍선 상태에 대비하고 침구 상태 이상을 갖추고 침구 상태에 대비하고 침구 상태를 예방한다.맥류를 압박하고 작은 풍선은 위를 고정 → 식도 말단부와 위의 분 카토베 압박 지혈

4. 문맥계 간성 뇌병증(간성 혼수)

1)병태 생리-간질 말기에 발생(혈중 암모니아 수치 상승)-암모니아는 요소로 전환된 신장과 장을 통해서 배설되지만 간 기능이 손상과 독성 있는 암모니아를 요소로 전환하지 못하고 혈중 암모니아 농도가 상승하고 간성 뇌 병변증을 일으킨다.

2)암모니아 생성의 증가 상황:위장관 출혈, 고단백 식이, 신부전, 변비에 의한 장내 세균의 증가, 알칼리증, 죠칼류무 혈증, 마약, 진정제, 마취제, 이뇨제 투여, 수술, 급성 간 질환, 간염 등

3)증상:의식 장애, 진전의 증상 발생

4)관리-식이:저 단백, 단순한 탄수화물식이 제공, 식물성 단백질의 제공, 채소와 유제품이 풍부한 메뉴 제공하고 변비 예방과 암모니아 생성의 감소·약물 요법:Lactulose투여(암모니아를 이온화 → 장내 산도를 7에서 5로 감소 → 산도가 낮아지면 암모니아가 효루엑기에에 유입되지 않고 자리에 앉다 → 설사 유발 → 암모니아를 체외로 배설), 광역 항생제(Neomycin, Metronidazole)투여-정신 상태 평가와 신체 손상의 예방

5.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1)병태 생리:복수 있는 경우 세균에 대한 저항력 있는 혈중 단백질 농도가 낮기 때문에 급성 자발성 복막염에 쉽게 이환

2)증세:발열, 복통, 복부 압통, 경직, 정신 상태 변화 등

3)진단 검사:복수 천자를 통해서 복수 안의 세균 배양 검사 실시

4)치료:항생제 사용

간 농양(Hepatic Abscess)[1]원인

1)세균이나 아메바(원충 entamoeba histolytica)의 침입으로 발생

2)원인 균:대장 균 Klebsiella, 장내 세균, 살모넬라, 포도상 구균, 장구균 등

3)급성 담낭염, 간의 외상, 복막염, 패혈증 후 간에 균의 전파되고 발생 가능

[2]증세

1)3대 증상:발열, 우상 복부의 통증, 암 비데

2)상복부 통증과 함께 간이 언급하며, 통증은 어깨에서 복사

3)식욕 부진, 체중 감소, 오심, 구토, 오한, 호흡 곤란 등

[3]진단 검사

  1. CT, 초음파 진단
  2. 2) 간혈관조영술: 간농양과 악성종양 감별
  3. 3) 혈액배양검사(세균성 간농양), 변배양검사(아메바성 간농양)
  4. 4) 혈액검사 : WBC, ALT, AST, 빌리루빈 수치 상승
  5. [4]치료나 간호 중재
  6. 1) 세균성 간농양의 경우 배양검사 결과에 따라 항생제 투여
  7. 2) 아메바성 간농양의 경우 metronidazole 투여(혐기성 항균제)
  8. 3) 농양이 커지고 증상이 악화될 경우 경피적 배아 실시
  9. 4) 활력징후 관찰, 체액 및 영양섭취 유지
  10. 5)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
  11. 6) 철저한 무균술 적용
  12. 간암(Hepatoma) [1] 원인
  13. 1. 일차성 간세포성암 : 간 혈관조직 침입, 출혈유발, 혈액순환차단, 간조직괴사의 원인
  14. 2. 전이성 간암 : 간에 혈류가 많아 전이(문맥계를 통해 암세포 운반)
  15. [2] 증상
  16. 1) 초기에는 모호함(커지기 전에 임상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음)
  17. 2)식욕 부진, 발열, 위장관 징후(오른쪽 위 복부 불쾌감, 압통, 복부 팽만, 설사, 변비, 오심)
  18. 3)복수, 줄기 비대, 말초 부종, 덩어리, 마찰음, 잡음, 황달, 빈혈, 호흡계 문제
  19. [3]진단 검사
  20. 1)혈액 검사-적혈구 및 백혈구:증가-ALP:증가(간 기능 저하)-A/Gratio(알부민/글로불린 비율):저하-AFP(alphafetoprotein):간 세포성 암 환자의 약 70%에서 50~500ng/mL로 상승
  21. 2)초음파, CT, MRI, 간 생검, ERCP, 혈관 조영술, 방사성 동위 원소 scan등 시행
  22. [4]치료나 간호 중재
  23. 1. 간 절제술
  24. 1)적응증:종양이 간 일부분에 한정된 경우에 시행
  25. 2)수술 전-응고 인자 결핍을 보완하기 위해비타민 K투여-장 준비-혈액량 부족 시 수혈
  26. 3)수술 후-활력 징후:15분마다 그 후 1시간마다 측정-출혈 사정:수술 부위의 드레싱에 혈액이 묻어 있는지 잘 확인-매일 체중 측정-통증 조절:체위 변경과 기침의 격려, 절개 부위의 지지, 적절한 체위, 진통제-단식, 비 위관 삽입 및 흡입, 4시간마다 구강 간호-식사는 수술 5일째의 유동식으로 시작
  27. 2. 항암 화학 요법
  28. 1)수술이나 다른 시술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행
  29. 2)항암제:5-FU, adriamycin, BCNU, methylCCNU등
  30. 3)주입 경로:전신적(정맥 주입)또는 국소적(간 동맥)로 투여
  31. 3. 시술적 치료 방법
  32. 1)경피적 알코올 주입:초음파를 이용하고 간에 도관을 삽입한 후 에탄올을 주사하고 종양을 파괴하는 방법
  33. 2) 경동맥화학색전술: 카테터를 대퇴동맥을 통해 간동맥까지 삽입한 후 항암제를 직접 주사하고 바로 색전물질을 주입해 암세포로의 혈류를 차단한다.
  34. 3) 방사선 고주파 소작술 : 가는 바늘을 종양의 핵심부위에 삽입 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주파에서 열을 발생시켜 종양파괴, 종양의 크기가 5cm 이하일 때 효과
  35. 4. 간이식
  36. 1) 적응증 : 말기 간질환자의 실제 치료방법
  37. 2) 수술 전 – 장기기증자 수술 전 3~4일, 수혜자 4~5일 전 입원 – 수술 전 기본적인 검사 시행 – 거부반응을 줄이기 위해 면역억제제제 cyclosporin 투여 – 수술과정과 거부반응 메커니즘, 수술 후 관찰과 투약 정보 제공
  38. 3) 수술후 – 수술후 2주간 집중간호 필요 – 항생제, 면역억제제 투여(prednisone, corticosteroid, cyclosporine) – 기침, 심호흡, 조기이상격려 – 감염증상관찰 – 거부반응징후관찰 : 발열, 간의 팽창과 통증, 간기능검사 이상소견(거부반응징후시 면역억제제제 용량증가 투여) – 24~48시간 침대안정
  39. 4) 대상자 교육 – 저항력 감소 : 감기, 피로를 피하고 충분한 영양섭취 – 약물복용 : 면역억제제 매일복용 – 거부반응 증상 : 발열, 쇠약감, 복통, 황달 등의 증상시 의사에게 보고 – 감염증상 : 열, 기침, 전신권태감, 오심, 구토, 두통 등 관찰
  40. 의 약 70%에서 50~500ng/mL로 상승

2)초음파, CT, MRI, 간 생검, ERCP, 혈관 조영술, 방사성 동위 원소 scan등 시행

[4]치료나 간호 중재

  1. 간 절제술
  2. 1)적응증:종양이 간 일부분에 한정된 경우에 시행
  3. 2)수술 전-응고 인자 결핍을 보완하기 위해비타민 K투여-장 준비-혈액량 부족 시 수혈
  4. 3)수술 후-활력 징후:15분마다 그 후 1시간마다 측정-출혈 사정:수술 부위의 드레싱에 혈액이 묻어 있는지 잘 확인-매일 체중 측정-통증 조절:체위 변경과 기침의 격려, 절개 부위의 지지, 적절한 체위, 진통제-단식, 비 위관 삽입 및 흡입, 4시간마다 구강 간호-식사는 수술 5일째의 유동식으로 시작
  5. 2. 항암 화학 요법
  6. 1)수술이나 다른 시술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행
  7. 2)항암제:5-FU, adriamycin, BCNU, methylCCNU등
  8. 3)주입 경로:전신적(정맥 주입)또는 국소적(간 동맥)로 투여
  9. 3. 시술적 치료 방법
  10. 1)경피적 알코올 주입:초음파를 이용하고 간에 도관을 삽입한 후 에탄올을 주사하고 종양을 파괴하는 방법
  11. 2) 경동맥화학색전술: 카테터를 대퇴동맥을 통해 간동맥까지 삽입한 후 항암제를 직접 주사하고 바로 색전물질을 주입해 암세포로의 혈류를 차단한다.
  12. 3) 방사선 고주파 소작술 : 가는 바늘을 종양의 핵심부위에 삽입 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주파에서 열을 발생시켜 종양파괴, 종양의 크기가 5cm 이하일 때 효과
  13. 4. 간이식
  14. 1) 적응증 : 말기 간질환자의 실제 치료방법
  15. 2) 수술 전 – 장기기증자 수술 전 3~4일, 수혜자 4~5일 전 입원 – 수술 전 기본적인 검사 시행 – 거부반응을 줄이기 위해 면역억제제제 cyclosporin 투여 – 수술과정과 거부반응 메커니즘, 수술 후 관찰과 투약 정보 제공
  16. 3) 수술후 – 수술후 2주간 집중간호 필요 – 항생제, 면역억제제 투여(prednisone, corticosteroid, cyclosporine) – 기침, 심호흡, 조기이상격려 – 감염증상관찰 – 거부반응징후관찰 : 발열, 간의 팽창과 통증, 간기능검사 이상소견(거부반응징후시 면역억제제제 용량증가 투여) – 24~48시간 침대안정
  17. 4) 대상자 교육 – 저항력 감소 : 감기, 피로를 피하고 충분한 영양섭취 – 약물복용 : 면역억제제 매일복용 – 거부반응 증상 : 발열, 쇠약감, 복통, 황달 등의 증상시 의사에게 보고 – 감염증상 : 열, 기침, 전신권태감, 오심, 구토, 두통 등 관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