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사용방법 자율주행차를 체험할 수 있는 cruise 기능

자동차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고, 이제는 사람이 직접 운전하지 않아도 되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도 머지않은 것 같습니다.미래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와 자율주행이 둘로 나뉠 정도로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차를 구분하는 것은 총 5가지 수준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간단하게 소개하고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의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0레벨 : 일체의 기계적 개입이 없는 순수 운전자 스스로 수행하는 단계

레벨 1: 차선 이탈 경보, 자동 브레이크 속도 조절 등의 보조를 하는 역할

2레벨: 핸들조작, 감속가속 등 능동적 제어단계, 그러나 운전자가 상시 감독을 해야 한다.

3레벨 : 교통신호와 도로흐름 등을 인식하는 단계로 대부분의 차량이 스스로 진행하지만 돌발상황에 운전자가 개입

4레벨: 4단계까지 오면 완전자율주행이라고 부를 수 있지만 정해진 일정 구간만 운전이 가능한 단계

5레벨 : 모든 도로를 운전자 개입 없이 자동차 스스로 운전하는 마지막 단계

이렇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두 레벨 정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일요일에 KB11TV에서 방송한 이슈픽 선생님과 함께라는 프로그램을 시청했는데 현재 자율주행차 2~3단계를 넘어서는 단계이며 앞으로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와 이 자율주행 기술이 얼마나 발달했느냐에 따라 제조사의 운명이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랍니다.

차량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제 차에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즉 차량 CRUISE 크루즈 기능을 사용해 보셨을 텐데 또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모르거나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알고도 사용해 보지 못한 분들이 계실 것 같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현재 어느 정도의 성능을 발휘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의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차종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현대·기아차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핸들을 기준으로 오른쪽을 보면 버튼이 몇 개 있는데 시계 또는 나침반 모양이고 MODE 또는 CRUISE라고 적혀있는 버튼이 조작버튼입니다.위 사진은 아반떼 CN7을 찍은 건데 요즘은 MODE라고 쓰여 있어서 나침반 모양의 그림이 그려져 있네요.

하지만 말씀드린 대로 CRUISE라고 적혀 있는 것도 있으므로 가지고 계신 차량을 확인해 주십시오.그리고 밑에 보시면 단추가 하나 더 있어서 +- 이렇게 적혀있을 거예요먼저 핸들 오른쪽에 있는 MODE 또는 CRUISE라고 적혀 있는 버튼을 누르시기 바랍니다.단, 차종에 따라 일정 속도 이상으로만 작동하는 차종도 있고 기본적으로 30KM 이상 속도일 때 작동합니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작동 버튼을 누르면 계기판에 CRUISE라고 문자가 표시됩니다.이상태에서 아까 작동버튼 아래에 있는 +- 버튼중 마이너스버튼을 아래로 한번 내려주시면 작동합니다.이때 만약 제가 시속 50KM으로 달리고 있는 상태에서 세팅하면 50KM으로 세팅이 되고 플러스 마이너스 버튼을 이용해서 속도를 높일 수도 있고 내릴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 단지 크루즈 컨트롤과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의 차이점을 설명하자면 크루즈 기능만 있는 차량의 경우 내가 지정한 속도로 주행할 뿐인 반면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앞차와의 거리를 인식하고 만약 가까워지면 차량 스스로 감속하고, 또 멀어지면 가속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렇게문장으로만설명하면잘모르니까아래에영상으로따로설명해드릴게요.

먼저 자동차의 크루즈 기능을 켜고 주행 중에 브레이크를 걸면 일시 정지 상태가 됩니다.

위 사진을 보면 속도가 안 뜨죠? 이건 실정지 상태에서 다시 세팅하기 위해서는 마이너스 버튼을 낮춰주시면 지금의 주행속도로 다시 세팅된다고 합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시속 90km로 주행 중 크루즈 기능을 켜고 세팅하면 액셀을 밟지 않아도 차량 스스로 시속 90km를 유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일시정지 상태가 되며 다시 마이너스 버튼을 누르면 세팅되고 그때 주행 중 속도로 다시 세팅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만약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기능이 탑재된 차량이라면 위와 같이 응답성과 주행 편의성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스로 내 차의 설정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기능이 탑재된 최신 모델의 차량을 타봤는데 앞차와의 거리를 차량 스스로 인지하고 앞차와 가까워지면 속도를 스스로 줄이고, 또 멀어지면 가속하는 등 정말 신세계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자율주행차 상용화가 이제 정말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기술 발전 속도가 엄청납니다.

그럼 위에 말씀드린 대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실제로 작동하는 영상을 첨부하겠으니 보고 이야기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위 영상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작동을 해서 찍은 영상인데 처음에 CRUISE 버튼을 누르면 계기판에 표시되는 게 보이시죠? 그리고 +- 버튼 중 마이너스 버튼을 아래로 내리면 계기판에 속도가 표시되고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그리고 영상 중간에 보면 저는 분명히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고 설정 속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차가 속도를 그만큼 내지 않는 걸 알 수 있는데 바로 앞에 보면 다른 차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잠시 후 차선 변경을 하고 앞에 차가 없기 때문에 가속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기능은 전방 차량을 인식하고 차량 스스로 속도를 조절하는 반자율주행 자동차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최근에는 도로를 인식하고 옆으로 꺾이는 구간에서 차량 자신이 운전대를 조작하는 정도까지 기술이 발전했습니다.

아직 완전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지는 않았지만 곧 상용화될 것으로 보여 미래에는 전기차 자율주행차 기술을 가진 업체가 성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쉽게도 저는 아직 테슬라를 직접 시승해 본 적이 없는데 듣기로는 테슬라 자율주행의 경우 정말 신세계를 경험할 수 있을 정도라고 하는데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꼭 한 번 시승을 해보고 싶네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기능의 작동법을 모르거나 어떤 기능인지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테니 포스팅 해 보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 가지 꼭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오직 크루즈 컨트롤만의 차량의 경우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는 없기 때문에 소유된 차량에 어떤 것이 장착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시고 차량이 없는 비교적 조용한 장소에서 천천히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좋다는 점을 알려드리며 이만 작별을 고하고자 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