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추천 8강 [영화 추천]넷플릭스 스릴러

넷플릭스 스릴러 영화 추천 8강 오늘은 집에 있을 때 혼자 보기 좋은 스릴러 영화 넷플릭스에 있는 영화 8강 작품을 소개해 본다.

훠궈 GO!

콜 한국영화는 처음에 박신혜가 주연이라는 말을 듣고 그 큰 눈으로 얼마나 멋진 스릴러 연기를 보여줄까 하고 보았던 스릴러 영화인데 정종서라는 분이 정말 미친 연기력을 보여줬고 (물론 신혜 배우도 잘했지만) 이분의 연기를 보냐며 시간을 들인 작품이었다.

나름대로 기승결도 나쁘지 않고(전개가 좀 미묘하다고 느꼈다). 스릴러 타임 리프라는 게 새로운 부분인데, 왜 그 정종서 역의 캐릭터가 갑자기 사이코패스가 됐는지, 너무 쉽게 사람들을 차례로 죽이는지, 경찰이 엄마와 함께 방문했다가 어이없게 죽은 장면이라도 어처구니없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까웠습니다만 (중간에 무당 엄마가 아직 못 본다면 못 본다는 것이 당신과 이야기하던 게 재미있다고 생각되어 안타까웠습니다.)

제럴드 게임 외국 영화

이 영화를 계속 주변에서 보라고 해서 미뤘던 영화인데 기대 이상으로 정말 재미있었다. 흐르는 복선이나 신경을 건드리는 요소(특히 나는 떠도는 개나 아버지에게 근친의 장면)가 기억에 남는다.

개인적으로 히로인의 마지막 말이 너무 기억에 남는다.

당신,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작네요.”

이 영화는 저 말이 다 설명해 줄 것 같아. 우리가 느끼는 공포는 실체는 더 작고 초라할 수 있지만, 때때로 그것은 한 인간에게 인생을 망칠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 완전 개추

판의 미로 외국 영화

이 영화를 스릴러에 넣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했다.하지만 개인적으로 스릴러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넣었다.사실 매우 충격적이다. 아이들에게 일부러 소개시켜 주고 싶지 않아.

그러나 이 영화는 그 시대의 심리적 우울감을 잘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나름대로 어색했지만 무시할 수는 없었다.(이것이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지만 보라. 그러면 나와 비슷한 생각이 들 것이다.)

어릴 때는 불쾌한 영화를 보기 싫었는데 성인이 되면서 이런 영화가 판타지가 되는데 그 감정적인 모든 것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 같다고 느낀다. 이 영화의 장르는 뭐냐고 묻는다면 성인용 스릴러 판타지 정도라고 설명하면 되겠다.

만약 “동화적 우울감”을 좋아한다면 이 영화 추천할게.

인비저블맨 외국 영화

소시오패스의 옛 남자친구에게 개수작을 잘 그려준 작품인 비저블맨 요즘 이런 반전 요소가 유행인지 갑작스런 파노라마가 많이 보이는데, 영화는 처음에 스릴러로 알고 들어가 판타지를 보고 온 듯한 신기한 감정에 빠진다.

나는 근데 이 영화가 재밌었어 왜 재미있었냐면 여성 캐릭터의 점진적인 성장과 보이지 않는 심리적 압박감을 잘 그려냈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들 수 있다.

개인적으로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 모르고 본 작품이지만 호불호는 갈리기도 한다.

그래도 만약 심리적 요소로 스릴러물을 원한다면 이 작품을 추천한다.

셔터 아일랜드 외국 영화

아, 그냥 졸작이야.이 영화 다시 봐도 정말 소소한 걸 만들었어.(역시 레오 아자씨의 작품은 훌륭해)

그런데 이 영화를 보지 않은 스릴러 마니아가 과연 있을까.아닌가?

안 보면 꼭 봐야지 설명하고 싶지 않아.그냥 봐. 재밌어의미가 있어 소름 돋아

사바하 한국영화

사이비 종교에 대한 설명이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이정재 씨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는 작품이 아닌가 싶다.

재미 스릴러로 강추다. 재미있게 봤는데 큰 기억은 안남아.

환생 외국 영화

자신의 틀을 깨기 위해 세미나에 참석하는데 지금까지는 정말 예스맨 같은 느낌으로 가볍게 보았는데 시간이 갈수록 과간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나름대로 반전 요소와 주인공이 느끼는 감정 변화가 다채롭다.

마지막 장면에선 그저 이것이야말로 조희 팔급의 심리 스릴러 영화였다고 결론지었다.

예상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었고 나는 그것이 마음에 들었다.

아마 어처구니없는 일이지만, 당신들도 이 영화적 결말에 만족하지 않을까 싶다.

하우스 오브 왁스 외국 영화

고구마 스릴러 그 자체야특유의 고구마 외국 스릴러라고 보면 좋을 텐데 주인공들의 빙구미가 짜증스럽지만 그래도 주제와 가진 순수한 공포요소가 나를 두렵게 했다.

언젠가 본 여자(주부)들의 인형치고 남자들이 같은 동네에서 살았는데 나중에 여주인공이 알아채고 정의 실현된 제목이 떠오르지 않는 그 작품과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다름이 아니라 닮았다고 할까)에서도 그 영화 2005년작이어서 배경이나 순수 공포적으로 상당히 수작이 아닐까 싶다.

마지막은 하우스 오브 왁스의 움직임으로 포스팅을 마무리해볼게쉬는 날에 시간을 내서 골라서 즐겁게 관람하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