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성증의 증상으로는 오른쪽 위의 배 통증에서 30분 이상의 명치쪽 통증, 황달, 고열 등이 있습니다.

담석증의 원인은 고칼로리 음식 섭취에 의해, 혹은 세균성과 담도, 간에 발생하는 돌에 의해 답즙로가 막혀 염증이 발생한 것.
담석증 치료를 위해서는 담석 제거 수술을 통해서 가능하나 담석 안에 담석이 많이 크면 담석을 완전히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담낭은 간에 가까운 곳에 있으며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주머니이며 담즙은 간에서 담도를 통해 담낭에서 다시 담도에서 십이지장으로 이동합니다.
간이나 담낭으로 된 석회가 담도를 막아 담즙이 썩거나 역류하거나 염증을 일으키거나 적은 확률로 암이 발생하므로 담석증 치료를 위해 담석제거수술을 받아 질환의 악화를 예방하여야 합니다.

담석증의 원인
담즙은 간에서 만들어져 담도를 따라 담도에 저장되며 십이지장으로 분비되어 소화를 돕는 데 사용됩니다.
담즙은 녹색 액체로 담즙의 성분이 단단하게 뭉쳐 생기는 것이 담석으로, 담석의 위치에 따라 간내 담석과 담석 담석으로 나뉩니다.

담낭 안에 생기는 담석은 콜레스테롤의 변화가 담낭의 담즙 배설에 영향을 미쳐 콜레스테롤 담석이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간 속이나 담도에 생기는 담석은 균의 감염으로 인해 효소가 발생하여 효소와 칼슘이 합쳐져 칼슘빌리루빈으로 변경되며 그 결정체가 담석이 되어 담석증의 원인이 됩니다.

담낭 속의 담석은 희거나 황색인데 비해 담도나 간에서 생기는 담석에는 주로 검은색, 갈색 색소성 담색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갈색 색소성 담석은 간경변증 등의 만성 간질환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납니다.

색소성 담석환자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콜레스테롤성 담석환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식습관의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은 물과 섞이지 않는 물질이지만, 담즙산과 인지질을 만나면 녹아 담즙에 녹아 들지만 콜레스테롤의 양이 많아지면 잉여 콜레스테롤이 쌓입니다.

담석증에서 음식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콜레스테롤이 굳어져 결정되고 커지면서 단단해지고 돌이 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주로 40대 이상의 여성에게 생기는 담석은 허리둘레 36cm 이상의 여성의 경우 담석으로 담석을 절제할 확률이 정상 대비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여성이 남성보다 발생률이 2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출산 후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출산 후 비만 관리가 담석 예방에 중요하다고 합니다.
체중을 줄이려고 무리한 다이어트도 담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식사를 거르면 간에서는 콜레스테롤을 더욱 만들어 버립니다.

이렇게 간에서 생선이 된 콜레스테롤은 담즙과 함께 담즙으로 이동하는데 담즙 수축운동으로 다시 밖으로 배출하게 됩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식사를 거르면 담낭의 수축이 줄어들어 콜레스테롤이 담낭 속에 쌓여 콜레스테롤 담석이 됩니다.
담석이 담관으로 이동하여 담즙의 이동을 막거나 어렵게 하거나 염증이 유발되는 것을 담석증의 원인으로 하여 간 또는 담낭제거 수술을 시행합니다.

담석증의 증상
담석이 담관을 막아 압력이 증가하여 오른쪽 윗배에 통증이 오고 명치 통증이 오며 어깨 쪽에 연관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통증은 30분 이상 지속되거나 사라지거나, 더욱이 담석증 증상으로 복부 통증 외에도 열이 나거나 구토 증상이나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져서 황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황달은 담즙의 색소 빌리루빈이 혈액에 들어가 얼굴이나 눈이 황색으로 변하거나 소변이 적갈색으로 나오는 증상을 말합니다.

담석증 치료
특히 간에 발생한 석이 담도를 막거나 담도가 좁아져 있을 때 방치하면 담도에 의한 간경변증, 간경변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제거 수술을 시행합니다.
담석증 치료를 위해서는 피부를 통해 내시경 카메라를 삽입하여 간 내 담도의 담석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하는데, 석이 크지 않으면 터트리지 않고 직접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돌이 크면 직접 꺼낼 수 없고 전기 수압 세척술로 충격파를 내어 돌을 쪼개어 빼내거나 장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수술을 합니다.
담낭을 절제하는 수술은 담석에 의해 담낭에 용종이 생기고, 용종이 1센티미터 이상일 경우나 지속적으로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에 행해집니다.

담낭에 결석이 많아 담낭을 제거했다고 해도 담석 제거 수술로 담낭을 절제하지만, 담낭을 절제했다고 해도 담즙 배출은 간이 되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담낭 제거 수술 후 20% 이하만 소화불량이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3개월 이내에 좋아집니다.

담석증 치료는 대부분 내시경 또는 복강경 수술로 담낭과 담낭을 절제하여 담석을 제거하는 것을 기조로 합니다.

담석증 음식
담낭 속의 담석 성분은 대부분 콜레스테롤로 섭취를 줄이는 식단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담석증에 좋은 음식으로는 베타인을 많이 포함한 비트를 추천하지만, 베타인은 간과 담낭의 콜레스테롤 침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식이섬유를 많이 섭취하면 장내 유익균이 증가하여 담즙의 재흡수를 촉진합니다.

전에도 말했지만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으로는 보리와 차고시 등이 있습니다.
담석증 예방에 좋은 음식으로 비타민 C를 많이 포함한 음식이 좋은데 피망, 키위, 딸기, 오렌지, 고추 등이 있습니다.


또한 간질환 세균감염도 담석의 원인으로 담석증 오른쪽 위의 배의 통증이나 명치 통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황달이 나오기도 합니다.
담석이 작거나 수가 적으면 반드시 제거하지 않아도 되지만 추적관찰하여 염증이나 암이 유발되기 전에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담석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칼로리 식저지방식을 섭취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 꾸준한 운동으로 예방과 관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