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어드센스에 미국 세금 정보 넣기 (광고 수익 원천징수 피함)

아! 오늘은 유튜브를 운영하시는 분들께 너무 중요하고 미리 준비해야 할 내용을 담았습니다.

유튜브 어드센스에 미국 세금 정보를 넣어야 광고 광고 수익의 25% 원천징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이야기를 해보면 이렇게 됩니다.

먼저 미국 국세법 제3장이 바뀌면서 2021년 6월부터는 미국 시청자로부터 얻는 수익에 대해 세금이 원천징수, 즉 사전에 징수되게 됩니다.

어? 난 한국인이 주로 보는 유튜브 채널이고 애드센스 광고 수익도 주로 한국이 많은데…

나랑 상관없는 거 아니야?이렇게 생각하면 큰 실수입니다.

지금부터 아무것도 하지 않고, 21년 5월 31일을 보내면…

이 의미는 미국 정부에 세금 관련 정보를 넣지 않으면 전체 수익의 25% 이상을 공제할 수도 있다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제 시청자가 미국인이 아니라 애드센스 광고 수익 역시 한국에서 주로 발생한다고 해도,

우리는 어드센스를 통해 미국 정보에 내 세금 정보를 넣어야 합니다.

소지품이 필요한데 사업자등록증 혹은 (간이)사업자등록증입니다.

대개 순서는 이렇게 진행하는데 홈택스에서 1인 미디어 관련 간이사업자 등록을 하고 유튜브 어드센스에 미국 세금 관련 정보를 넣습니다.

만약 여러분 중 저는 제 이름으로 사업자등록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그걸 그냥 쓰시면 돼요.

저는 없어서 간이사업자 등록을 새로 하려고 합니다.

일단 홈택스로 들어갈게요.다행히 간이 사업자 등록은 온라인으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저는 간단하게 카카오로 했습니다.) ‘신청/제출’ 메뉴에 ‘사업자등록신청/정정 등’에 ‘사업자등록신청(개인)’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여기를 클릭하세요.

그러면 사업자등록신청(개인) 항목이 나오는데 상호명을 대충 씁니다. 저는 원앙으로 했어요.

그리고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등… 필요한 정보는 다 넣어줍니다.

사업장 소재지는 주소지 동일여부에서 [여자]를 선택하면 지금 제가 살고 있는 정보가 그대로 나옵니다.

굿!

그리고 업종선택인데 [업종입력/수정]을 클릭해 줍니다.

그러자 업종 코드가 나오는데 검색을 클릭해서 1인 미디어를 검색한 후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선택했습니다.

참고로 저는 이 사업자를 유튜브에만 사용하는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했는데요.

만약 여러분은 다른 계획이 있다면 그에 맞게 등록해 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검색 후 [등록하기]를 클릭한 후 아래의 [업종등록]을 선택하여 등록시킵니다.

비즈니스 설명은 대충 넣었습니다. 저는 “오시네 학교 및 초튜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양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있습니다.이렇게 입력했어요!

이거 쓰는데 너무 고민 안 하셔도 될 것 같아요.대충 적어주세요.

기본정보에 개업일자를 적고 종업원 수 0명, 자기자금 0원, 타인자금 0원. 입력하고 임대차 내역도 입력합니다.

공동사업자 정보는 없으니까 패스!

사업자 타입을 선택할 때 나는 가장 쉽고 간단하게 했어요.만약 제가 어떤 조건(연매출)이 되고 일반과세로 바뀌면 자동으로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우선 간이과세자로 하겠습니다.

일반과세자와간이과세자의차이,이런이야기는안합니다.다만 저처럼 소소한 유튜버는 간이과세자로서도 별로 무리가 없습니다.

선택지는 대체로 다릅니다. 해당 사항 없음… 이렇게 입력합니다.대충 읽어보면 그렇게 도움이 될 건 없어요.

그리고 끝났습니다.[제출서류 확인하기]를 누른 후 [신청서 제출하기]를 클릭하면 끝!

이런 게 인터넷 접수 목록 조회에 접수 완료가 뜹니다.일단 오늘 할 일은 끝났어요.

하루가 지나자 메일이 왔습니다.오.. 제가 금요일 저녁에 했는데 토요일 주말인데 발행되었어요!! 굉장해요!!

아무튼 민원처리 결과 조회를 확인하시고 발급번호를 눌러주시면

사업자 등록 되었습니다.이때 사업자등록번호가 외국인 TIN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애드센스에 들어가 유튜브 계정에 사용할 구글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그리고 사이드 메뉴에서 “결제”를 선택합니다.다음으로 [설정] – [설정관리]를 클릭하면 미국의 세금정보 항목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있는지 몰랐는데 이번에 확인해보니 있네요.연필 모양을 클릭하고 [세금 정보 관리]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세금 정보 관리 부분이 나오는데 [세금 정보 추가]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기본적인 내용을 넣습니다.

저는 [개인]이고 미국 시민 또는 거주자[아니오]

여기서 중요하지만 세금 양식으로 W-8BEN을 선택해 줍니다.

W-8BEN은 미국 이외의 국가의 개인이 주로 사용하는 양식입니다.조세조약 혜택을 신청할 때 쓰게 되는데 이걸 안 하면… 미국 원천징수의 칼날을 피할 수 있어요.

세금 아이디로 개인 이름은 영어로 쓰고 여권에 쓸 이름을 쓰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대한민국을 선택하고 여기서 중요한 것

외국인 TIN을 비우지 말고 아까 제가 발급한 사업자등록번호를 넣겠습니다.

여러분 중에서 사업자등록번호 이외의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면 알려주세요. 제가 공유할게요.

참고로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등을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주소를 넣고 영문 주소를 넣어야 하는데 저는 네이버 영문 주소 변환 덕분이에요.

그리고 중요한 것! 조세조약 부분에서 [예]를 선택하여 미국과의 조약을 신청한 국가에 거주합니다를 체크해 줍니다.

그리고 각자 해주시면 좋겠지만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서비스(애드센스)입니다.8조 1절 선택해, 0%(감면세율)를 선택합니다.

나머지는 스스로 10%(감면세율)를 선택해 줍니다.

서율을검토하여완전함을확인합니다.체크!

그리고 서명하고 직접 선택합니다.

미국에서 행해진 활동이나 서비스는 이전에도 행해지고 있었습니다.물론 미국에서 활동할 계획은 없지만… 그냥 했어요.

그러면 세금 정보 관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핵심은 서비스 원전 징수 세율이 0%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메일로도 오게 되는데 여기까지 하면 끝!!

유튜브 광고 수익이 나는 분들은 꼭 애드센스로 미국 세금 정보를 넣어주세요.안녕!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