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냄새의 원인 편도결석을 의심해 보세요.

구취의 원인이 되는 편도 결석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습니까?편도결석은 편도 내에서 상피조직의 파편이 축적되어 생기는 노란 알갱이입니다. 이 노란 알갱이가 입냄새의 주범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편도결석의 원인과 제거 방법, 그리고 입냄새의 원인이 되는 여러 가지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도결석은 입 안에 노란 알갱이가 생기는 질환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끔 메스꺼움이나 기침을 심하게 할 때 또는 양치질을 할 때 노란 알갱이가 튀어나오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것은 입냄새, 인후통, 귀통증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침을 삼킬 때 목에 이물질이 낀 것 같은 느낌이 들거나 목이 근질근질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편도 결석의 원인으로 대표적인 것은 만성 편도염입니다. 편도염을 자주 앓게 되면 편도선에 있는 편도와라는 작은 구멍이 커지게 됩니다. 음식을 섭취할 때 음식 찌꺼기가 이 부위에 끼여 세균이 잘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됩니다. 그래서 그 세균들이 뭉쳐서 작은 알갱이를 형성하고 이것을 편도결석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편도결석은 구강위생이 불량한 사람이나 비염, 부비강염으로 후비루가 있는 사람에게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구취의 원인이 되는 편도결석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가글을 할 때 목을 벌린 채 “아~” 소리를 내면서 가글을 하면 편도결석 제거 및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2. 2. 면봉 외도결석이 있는 곳을 거울로 확인하고 깨끗한 면봉을 사용하여 편도결석이 있는 곳을 가볍게 눌러줍니다. 너무 많이 누르면 목에 편도선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가볍게 긁듯이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3. 3.흡입기 흡입기에 물을 채운 후 편도결석이 있는 곳에 사용하거나 도구를 사용하여 집중적으로 물을 분사하면 편도결석이 부서져 제거될 수 있다고 합니다.
  4. 4. 편도선 구멍을 막는 것은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편도선 구멍을 약으로 막아 평평하게 하는 것입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별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5. 5. 편도염을 5~6회 이상 앓거나 매년 3회 이상 편도염을 앓고 있는 경우 편도염 자체를 없애 편도결석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편도결석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편도 결석 이외에도 입냄새의 원인이 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존재합니다. 어떤 이유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체중 조절을 위해 탄수화물 섭취량을 극도로 제한하는 경우

체중 조절을 위해 극단적으로 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하면 입냄새가 심해진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지방을 분해할 때 분비되는 케톤체라는 물질에 아세톤이 들어 있는데 이 아세톤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 않고 호흡으로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아세톤이 나쁜 냄새를 만들어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건조한 구강 상태

입안이 건조해지면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입냄새가 나는 이유도 이와 같습니다. 밤새 수분이 빠져서 입이 건조해지고 결국 입냄새가 난다고 합니다. 이때는 평소 습관적으로 물을 마시고 입을 건조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구강 질환

잇몸 염증이나 충치, 치석 등 구강질환으로 인해 구강 내 세균의 활동이 활발해져 입냄새가 더욱 심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구강질환으로 인해 입냄새가 심해졌다면 양치만으로는 해결이 어렵고 전문기관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위장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에 염증을 일으키는 역류성 식도염에 걸리면 위장에 쌓여 있는 음식물들이 올라와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입냄새의 원인으로 마지막으로 조금 전에 자세히 설명한 편도결석을 들 수 있습니다. 아울러 입냄새를 없애는 5가지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식후에 입안에 낀 음식 찌꺼기는 20분이면 부패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식후에는 반드시 양치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1일 3회, 3분 이상, 식후 3분 이내가 좋다고 합니다.
  • – 양치질을 할 때는 혀에 낀 설태까지 꼼꼼히 닦아내는 것이 좋아요. 혀에 낀 세균이 입냄새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혀 돌기 사이에 있는 찌꺼기도 철저히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 – 음식을 꼭꼭 씹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꼭꼭 씹어 먹으면 침 분비가 활발해져 입안이 깨끗해지고 소화 작용에도 도움이 됩니다. 위장에서 가스가 발산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 – 혀 운동을 하면 침 분비량이 증가하고 구강 내 자정 작용이 활발해집니다. 그래서 평소에 다른 사람과 대화를 많이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 – 긴장과 피로가 쌓이게 되면 침 분비가 줄어들고 입냄새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잘 조절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구취의 원인이 되는 편도결석의 원인과 제거 방법, 그리고 구취를 없애는 방법까지 쭉 살펴봤습니다. 갑자기 입냄새가 심해지면 위와 같은 원인을 의심해 보시고 입냄새 제거 방법도 참고하셔서 잘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