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민정(성분-트리아졸람), 불면증약 오래 먹어 부작용과 수면제효과 떨어질때

한약 탈감작 치료를 통해 단계별로 줄이고 잘라야 부작용 금단현상을 최소화하고

졸민정은 뇌중추신경계를 둔화시켜 졸리고 졸리는 불면증 약 중 하나다. 트리아졸람의 주성분으로 여러 수면제 중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단시간형 약물이다. 불면증 단기 치료에 쓰이는 약으로 1주일에서 10일 이내에만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의존성이 있어 3주 이상 계속 복용하는 환자도 적지 않다. 그리고 갑자기 끊으면 수면제 부작용과 금단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서투른 민정은 여러가지 부작용과 의존성이 존재하는 약이다. 복용하자마자 단기간에 빨리 효과를 내지만 의존성은 강한 편에 속한다. 특히 이 약을 먹고 수면제 효과 때문에 수면 중의 복합 행동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약 기운에 정신이 몽롱한 상태에서 일상 활동을 자신도 모르게 마치 몽유병 환자처럼하는 것을 말한다. 수면 운전이 대표적이다. 이 약을 먹고 본인은 그냥 잤다고 생각하고 다음날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이런 약을 먹고 약의 기운이 완전히 깨지 않고 그렇다고 잠도 깊지 못한 꿈결의 사이에 운전 등 위험한 행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환자는 다음날 잠을 깨면 약을 먹고 약의 기세에 취해서 전날 밤에 자기가 한 행동을 전혀 기억하지 않는 방법이다. 운전뿐 아니라 약을 먹고 자고 일어나서 부엌에서 요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 칼을 사용하거나 뜨거운 국을 만들기도 한다. 냉장고의 음식을 모두 꺼내고 혼자 먹고 잤다.아침에 일어나서 보면 여기저기 음식을 누군가가 먹어 치운 흔적만 남아 있어 놀라곤 한다. 나는 그렇게 한 기억이 전혀 없는데, 도둑이 들어 왔는지, 그것과 함께 생활하는 다른 가족 중에서 누가 이렇게 했는지 따지게 된다. 때에 약세로 취해서 누군가와 통화를 1시간 2시간 하는 경우도 있다. 정상적으로 모두 잘 통화도 했지만 다음날이 되면 자신은 통화 내용은 물론 통화를 했다는 기억조차 없는 경우도 많다. 때로는 성관계를 하거나 수면 중에 외출했다가 다시 들어오곤 한다. 이런 수면 중의 복합 행동은 벤조 계열의 수면제 효과가 너무 강해서 나타나는 부작용의 하나이다. 또 이 약 외에 다른 우울증 약, 항불안 약 등의 정신과 약을 함께 복용할 경우에는 이런 위험성이 훨씬 높아진다. 솔 민정의 같은 수면제의 부작용 중에는 낮의 불안감 증가, 초조 환각, 내가 내가 없는 다른 인증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즉시 중단하는 것이 좋다. 불면증 약의 부작용 중에는 졸음이나 만성 피로, 무기력이 환자가 가장 많이 호소하는 부분 중 하나다. 약의 힘으로 잔 것은 사실이지만, 숙면은 못하고 잤다고는 하지만 낮에 피로가 만성화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밤에는 약을 먹지 않으면 불면이 되지만 반대로 낮에는 약의 기운의 여파, 졸음이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중추 신경계를 직접 억제하는 약이어서 두통, 현기증 같은 정신 신경계의 부작용이 따른다.

외에도 운동 실조와 협동 운동 장애 부작용이 잘 나타나는 약이다. 이는 평소 뇌에서 조절력을 통해서 운동 기능이나 반사 신경, 균형 감각 등이 조절되지만 정신과 약이 이런 뇌의 조절력을 일정 부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계 조작, 특히 위험이 따른 운전 등을 할 때 반사 신경이나 운동 감각, 민첩성 등이 빠지기 쉬운. 그래서 운전 중 사고나 기계 조작 등에서 실수가 생길 수 있다. 또 고령자는 운동 감각이 떨어지면 바닥의 것에 걸려서 넘어지거나 균형 감각이 떨어지거나 넘어진 사고 등이 발생되기 쉬우므로 조심해야 한다. 그래서 노인들은 이 약도 절반 가까이 용량을 줄이고 마시는 것이 권장된다. 외에도 심장의 두근거림, 만성 피로, 기억력 감퇴, 두통, 현기증, 눈의 피로 등이 자주 보고되는 부작용에 속한다. 그리고 이 약은 의존성이 있어서 갑자기 멈추거나 용량을 줄이면 금단 현상이 잘 일어난다. 약물 절벽 상황이 발생, 가슴 앓이, 발한, 불면증, 근육 경련, 떨며 낮의 불안 등 전신 긴장성 과민성 신체화 반응이 잘 따른다. 그래서 이런 정신과 약을 그만둘 때는 한약의탈 민감성을 통해서 금단 현상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좋다. 처음에는 한약과 기존의 불면증 약을 1시간 간격으로 함께 복용하게 된다. 그래서 수면 장애로 인한 전신 피로와 다양한 부작용으로 전신 자율 신경 과민 반응 등이 일정 비율 이상 좋아지면 그 때 약을 일정 부분 줄인다. 이 때 이 약만 아니라 다양한 정신과 약을 함께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떤 약을 얼마나 비율로 줄이거나 어떤 순서로 줄이고 나갈지는 이런 정신과 약 단약 치료 경험 풍부한 치료자의 판단에 따르는 것이 좋다. 그래야 금단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도록 기술적으로 줄이고 갈 수 있게 된다. 그러자 양약가 중추 신경계를 강하게 억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주간의 졸음과 피로, 무기력, 식욕 부진, 구갈, 두통, 현기증 같은 부작용도 하나 둘 적다. 한약은 주로 신경 쇠약이나 전신 쇠약을 보강하는 한약과 자율 신경을 안정시키는 한약을 체질별로 구분하여 쓰게 된다. 수면 장애가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거나 불면증 약의 부작용이 따르면 온몸 기력도 함께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약을 통해서 밤에 깊게 잠들지 않아도 낮에 한약의 효과에 의해서 몸이 그렇게 피로하지 않을 거이라는 것을 체득하도록 하는 것이 1차 치료 목표이다.

하면 환자는 이미 잠 못 이루는 것 자체에 대한 강박 불안이 심해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수면 자체에 대한 걱정 자체가 생각과 걱정 걱정 불안이 심해졌고 그 여파로 다시 뇌가 깨어 잠을 잘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자는 시간이 부쩍 늘지 않고도 한약을 복용하면 다음날 피곤한 일은 크게 줄고 낮의 일상 활동에 큰 지장이 없다는 점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 그래서 잠을 못 자으면 어쩌나 하는 강박적 불안이 조금씩 줄어든다. 그러자 밤 잘 때”오늘은 반드시 잘 자야겠다, 오늘 잠을 못 자면 힘들지만 내일 힘들면 어떡하지”라는 연쇄적인 걱정 걱정의 연계도 끊기는 것이다. 대신”오늘 모자 모두 내일 활동하는 데 큰 지장은 없을 텐데 “라는 수면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한다. 그래야 수면에 대한 생각도 단순하면서 수면 자체에 대한 걱정이 적어이야말로 오히려 뇌가 각성하지 않는 불면증 치료도 더욱 빨라진다. 이렇게 하면서 수면제를 비롯한 각종 정신과 약을 기술적으로 줄어들면 전반적인 컨디션도 한층 좋아진다. 또 원래 잠을 잘 수 없게 된 계기가 된 일상 생활 속에서 그 뭔가 불안, 긴장, 걱정, 걱정, 분노 등이 어떻게 은밀한 형태로 환자의 뇌를 각성하고 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때로는 가족 갈등과 직장 및 대인 갈등, 때로는 돈 문제와 미래 불안, 때로는 가족 간호와 육아 부담, 노인 부양 등 다양한 현실적 걱정 우려가 존재할 때도 많다. 다만 때에는 체면이나 자존심의 양심의 문제와 관련해서 이 부분을 환자 본인도 무시하거나 회피하고 온 경우도 많다. 이런 부분까지 번지가 정확히 파악되어 마음의 정리나 심리 조절이 가능하면 뇌의 각성이 더욱 적어진다. 그래서 잠도 조금씩 깊게 잘 수 있게 된다 뇌의 각성의 여파로 생긴 자율 신경 과민 반응이 전신에 나타난 것도 더욱 적어진다. 글/한의사 강·용효크(경희심의 자리 한의원)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