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계 행성의 순서는 PLANET 8개를 SUN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과 나란히 알고 계시죠?

크기도 비교하고 영어로도 확인해서 외워보도록 합시다 아래 표를 보면 크기를 지름으로 표기해 놓았는데 감이 잘 안 오죠? 그래서 지구랑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배수구를 적어놨어요한글 영어 지름(km) 지구 크기, 배수 태양 SUN 1,391,900109 수성 MERCURY 4,874 0.38 금성 VENUS 12,1040.94 지구 EARTH 12,756 – 달 THE MOON 3,4760.27 화성 MARS 6,7940.53 목성 JUPITER 142,984 11.2 토성 SATURN 120,5369.2

우리 아들이 우주에 푹 빠져있는 거 이웃 분들이 많이 아실 거예요 아직 그 사랑은 여전해요. 요즘 좀 더 깊이 있는 지식을 알리고 싶어서 아직 어려워 보이지만 제가 더 사고 싶었던 책을 샀습니다.


역시 택배를 받자마자 열심히 사진을 보고 또 보는 모습이 너무 귀여워요. 필자는 매일 같은 둥근 PLANET이 뭐가 그렇게 좋은지 신기하기도 하지만.

그동안 영유아용 우주서적만 읽어줬는데 역시나 수준이 훨씬 올라갔다는 걸 느꼈어요. 중고생도 어려울 정도로 전문적인 지식이 대부분이네요.

SOLAR SYSTEM은 우주공간 어디에 있을까요? 상상도 못할 크기 중에 우리가 지구는 얼마나 되는 걸까요.

태양계는 SUN의 중력의 영향을 받는 천체의 무리, 즉 45억 5천만 년 전에 탄생한 태양과 그 과정에서 생긴 미량의 잔해입니다.

SUN은 우주에서 돌고 있는 거대 소용돌이 모양의 은하계의 약 100억 개의 별 중 하나라고 해서,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규모에 놀랐습니다.

아직 전문 지식까지 배우기는 어려워서 사진으로 조금씩 배우면서 컬러 점토로 특징을 살려서 자신만의 태양계 행성 순으로 만들어 보고 영어로 노래도 불러보겠습니다.

우주홀릭 2년차로 PLANE T의 특징을 잘 파악하고 있는 아들입니다

이 중 갈릴레오가 발견한 목성의 4개 위성은 이오(IO), 유로파(EUROPA), 가니메데(Ganymede-책의 영어 표기가 다릅니다네), 칼리스토(CALLISTO)를 좋아합니다. 가니메데를 가끔 달로 착각하기도 하는데요.

지금은 그림만 봐도 어떤 행성인지 누구의 위성인지 척척 알아맞히는 수준입니다.

태양계의 모든 목차를 보기 때문에 언제든지 페이지를 찾아 볼 수 있게 되어 있다고 알려주기 때문에 스스로 보고 싶은 부분을 펼쳐보기도 합니다.

이 중에 제일 좋아하는 플런트는 천왕성입니다 옆으로 누워서 거의 누워서 자전을 하는 게 재밌었던 것 같아요. 아마 큰 천체 중 하나와 측면을 부딪쳤을까요?
학창시절에도 관심이 없던 분야지만 아들과 우주 공부를 조금씩 하고 있어서 재미있어요.

아이가 궁금할 때 대답해 주려고 같이 공부를 하고 있어요. 하지만 아들의 습득속도가 훨씬 빠르답니다.

우리가 어릴 때는 수금지화목을 토천의 해명으로 외웠는데 2006년 8월 16일 국제천문학연맹에서 제외되었다고 합니다. 이제 명왕성은 왜소행성으로 분류돼 태양계 행성 8개를 기준으로 합니다.

왜소행성(DWARF PLANET S)은 세레스(CERES), 명왕성(PLUTO), 엘리스(ERIS), 마케마케(MAKEMAKE), 하우메아(HAUMEA)가 있습니다.

이처럼 아들 도스트라이크로 우주에 대한 서적만 늘고 있는데 얼마 전 독서교육에 대한 강의를 듣고는 걱정 없이 마음껏 읽습니다. 장래 희망이 우주인이 되지 않을까 작은 희망을 품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