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의 어드센스 광고 수익을 높이는 플러그인을 소개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수익 기능을 이용하거나 직접 스킨을 편집하여 애드센스 등의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직접 스킨에 코드를 삽입하여 광고를 구현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광고 구현이 불가능한 영역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식적으로 T스토리 모바일 웹에는 사용자가 직접 광고를 게재할 수 없습니다. 모바일 웹에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하려면 애드센스 플러그인을 이용하거나 티스토리의 수익 기능과 애드센스를 연동해야 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어드센스 광고 수익
애드센스를 티스토리 수익 기능과 연동시키면 사용하기 쉽고 관리하기 쉬운 장점이 있지만 몇 가지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애드센스를 티스토리 수익과 연동시킬 경우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의 일정 부분을 티스토리에서 가져갈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됩니다. 그리고 T스토리에서 개인 사용자의 애드센스 수익 통계를 집계하는데, 이에 가능하다면 T스토리 블로그에서의 수익 기능은 연동 및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티 스토리 플러그인
티 스토리 플러그인
T스토리 블로그에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외에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옵션 기능이 있습니다. 이러한 옵션 기능을 플러그인이라고 합니다. T-Story 플러그인 중 구글 Analityx, 카테고리의 글 더 보기, 이전에 발행한 글 등의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애드센스 광고 수익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플러그인에서 직접 수익을 올릴 수 없습니다. 잘 활용하면 수익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Google Analicics 플러그인글 Analicics를 통해 T스토리 블로그 방문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플러그인
구글 애널리틱스는 유입 사이트, 유입 경로, 유입 키워드 등의 통계를 확인할 수 있어 수익 창출에 큰 도움이 됩니다. 쉽게 예를 들어 애드센스 수익이 많은 게시물 페이지를 분석하여 유입 키워드와 키워드 단가를 확인하고 향후 발행할 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입이 많은 키워드보다는 클릭단가가 높은 키워드나 클릭률이 높은 키워드가 수익이 높습니다.
나에게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가장 필요한 필수 플러그인을 하나만 꼽으라고 하면 망설이지 않고 ‘구글 애널리틱스 플러그인’을 선택합니다.
Google Analicics 플러그인 설정 방법 Tistory 블로그는 자체 방문자 데이터 통계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자… m.blog.naver.com
구글 애널리틱스에 가입합니다.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 플러그인 > 구글 애널리틱스를 선택합니다.구글 분석에서 발급된 추적 ID를 “측정 ID 또는 추적 ID” 우측 입력란 입력합니다.추적 ID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카테고리 쓰기 플러그인
카테고리 쓰기 플러그인
해당 문장이 속한 카테고리의 다른 문장을 나열합니다. 리스트에 표시되는 투고의 수(3~8개)와 디자인(그레이, 빨강, 파랑, 초록, 보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의 게시물을 더 표시하면 방문자가 다른 게시물을 보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본문 하단 영역에 잘 배치해 놓으면 방문자 1인당 페이지 뷰를 늘릴 수 있습니다. 페이지뷰는 블로그 광고 수익과 직결되기 때문에 수익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다만 ‘카테고리 글 더 보기 플러그인’을 활성화시켰다는 이유만으로 방문자가 다른 게시물로 유입되지는 않습니다. 클릭은 방문 페이지의 콘텐츠와 카테고리의 쓰기 목록에 표시된 콘텐츠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우에만 발생하며 다른 게시물로 유입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쓰기 상세보기 플러그인 설정 방법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 플러그인 > [카테고리 쓰기 상세보기] 를 선택합니다.카테고리의 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표시하는 [그레이, 빨강, 파랑, 초록, 보라색] 디자인의 색상을 선택합니다.카테고리의 쓰기 표시[수]를 선택합니다.디자인과 개수를 선택한 후 [저장]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선발행한 기입 플러그인

선발행한 기입 플러그인
T-Story 블로그에서 글을 작성할 때 이전에 발행한 글을 검색하여 검색한 후 링크에서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전 발행문을 넣으면 본문에 내부 링크를 쉽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제목 텍스트에 하이퍼링크가 설정되므로 본문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단, T스토리 블로그는 기본적으로 링크 속성이 target=”_blank”로 설정되어 있으며 링크를 클릭하면 새 창에서 열립니다. 내부 링크를 현재 창에서 열려면 해당 속성을 삭제해야 합니다. 참고로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모바일 전면광고) 때문에 새로운 창을 여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무런 근거가 없다고 합니다.
선발행 글 플러그인 설정 방법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 플러그인 > 선발행 글쓰기를 선택합니다.이전 게시 링크 삽입 형태 [발행일+카테고리+제목] 또는 [발행일+제목] 또는 [카테고리+제목]을 선택합니다.삽입 형태를 선택하고 [저장]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태그 인디케이터 플러그인
태그 인디케이터 플러그인
티스토리 블로그 사이드바에 html 및 치환자를 이용하여 위젯(사용자 모듈)을 배치시킬 수 있습니다.
태그 인풋을 사용하면 사이드바에 애드센스 광고를 쉽게 게재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광고뿐만 아니라 html나 티스토리 치환자를 이용하여 사이드바에 배너 요소, 네이버 블로그 이웃추가 위젯 등을 위치시킬 수 있습니다.
태그 인디케이터 플러그인 설정 방법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 플러그인 > [태그 인디케이터] 를 선택합니다.태그 입력 플러그인의 [적용]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구글 애드센스 (모바일)

구글 애드센스 (모바일) 플러그인
티스토리 블로그 모바일 웹과 본문에 직접 삽입한 애드센스 광고를 모바일로 게재할 수 있습니다.
수익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최근에 작성한 T-Story 블로그에는 해당 플러그인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Google AdSense(모바일) 설정 방법 T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 플러그인 > [Google AdSense(모바일)]본문에 직접 삽입한 애드센스 광고가 있는 경우 모바일에서 [사용합니다]를 선택합니다.광고 형태를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단 및 하단]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광고 코드 입력란에 애드센스 광고 코드를 입력합니다.설정을 마친 후 [변경사항 저장]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구글 애드센스 (모바일) 플러그인 설정
티스토리 공지 블로그에 따르면 모바일 상단의 광고 사이즈는 ‘320×50/320×100 모바일 배너 사이즈만 적용 가능’하다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단, 상부에 300×250 사이즈도 게재할 수 있습니다. 하단에는 336×280 사이즈까지 게재할 수 있습니다. 고정 크기의 애드센스 광고 단위 작성에 대해서는 아래의 게시물을 참조하십시오.
https://m.blog.naver.com/lovedweb/222781563415GoogleAdSense에서 고정 크기의 디스플레이 광고 단위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디스플레이 광고는… m.blog.naver.com
구글 애드센스 (반응형)
구글 애드센스(반응형) 플러그인
티스토리 블로그에 반응형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T스토리 블로그에서 수익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최근에 작성한 블로그에는 해당 플러그인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반응형) 플러그인 설정 방법

구글 애드센스(반응형) 플러그인 설정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 플러그인 > 구글 애드센스(반응형)를 선택합니다.광고 형태를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단 및 하단]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광고 코드 입력란에 애드센스 광고 코드를 입력합니다.설정을 마친 후 [변경사항 저장]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T스토리 수익 기능에 애드센스 자동광고와 스킨에 직접 올리는 방식을 사용하면 원하는 곳에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Story 수익 기능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카카오가 마음을 바꾸면 언제든지 제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의 일정 부분을 빼앗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 애드센스 수익을 카카오와 티스토리에 알리고 싶은 마음도 없기 때문에 수익 기능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구글 애드센스(모바일), (반응형) 및 템핑(모바일) 플러그인
수익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킨 편집과 위에서 소개한 구글 애드센스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원하는 곳에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템핑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애드센스 자동 광고 등을 모바일 웹에 게재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막혀 있고 애드센스(모바일) 플러그인과 본문에 직접 소스를 삽입하는 방식으로만 모바일 웹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반응성 스킨을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웹은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