띄워보자, ‘지구관측용’ 인공위성 [우주산업 시리즈] 우리도

안녕하세요~ 산업 전문 미디어 첨단 헬로티입니다!

지난달 한국형 로켓 누리호가 발사됐습니다. 한국 발사체의 기술력이 상당한 수준으로 축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제 민간의 우주 산업 분야는 먼 이야기가 아닌 것처럼 느껴지네요! [우주 산업 시리즈] ‘지구 관측용’ 인공위성 2020년 미국 전체 인공위성 발사체의 50%가 관측·탐사 목적

▲차세대 중형위성 1호 상상도(출처:국토교통부) 지난달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로켓 누리호가 발사됐다. 비록 탑재체를 궤도에 올려놓지는 못했지만 국내 발사체의 기술력이 상당한 수준으로 축적됐다는 사실을 확인했을 뿐 아니라 민간에 우주산업 분야가 더는 먼 거리가 아님을 실감하게 하는 계기가 됐다.

올해 9월 스페이스X 우주선이 민간인을 태우고 우주여행에 성공해 민간 우주산업의 본격적인 시작, 뉴 스페이스 시대의 도래를 알렸다. 우주 산업에는 세부적으로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인공위성 사업은 가장 시장화가 빠르다고 예측되는 분야다. 스페이스X뿐 아니라 원웹,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경쟁에 뛰어들었다.

인공위성은 지구관측 및 원격탐사, 통신, 과학연구, 지도 및 내비게이션 제작, 정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산업 조사기관 Modrdor Intelligence에 의하면, 2020년의 전미 인공위성 및 발사체의 시장규모는 92억달러이지만, 가장 많이 사용된 분야는 지구 관측 및 원격 탐사용 위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시장의 50%에 이르고 있다.

국내 관측용 위성사업 동향

올해 5월 정부는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발사장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된 국토위성 1호가 촬영한 영상 13점을 공개했다.

2015년 개발에 착수해 약 6년간의 노력 끝에 올해 3월 발사에 성공한 국토위성은 정밀 지상관측용 저궤도 실용급 위성으로 과학기술 정보 통신부와 국토교통부의 지원을 받아 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이 개발했다.

▲국토위성 1호에서 보내온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관측 영상.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는 앞으로 항우연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밀 지상관측영상을 국토지리정보원 내에 설치된 국토위성센터에서 가공한 정밀 정밀 정밀 정밀조사 영상을 수요기관에 제공, 국토위성이 국토·자원관리, 재해·재난대응 등 공공·민간 서비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정밀지상관측영상은 한국판 뉴딜의 핵심과제인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드론 등 신산업 지원과 재난안전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융복합산업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 남용우 국토정보정책관은 “국토위성의 본격적인 운영과 영상 제공에 필요한 사항을 차질 없이 준비하고, 국토위성 영상이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내년부터 4년간 1427억원을 투입해 2025년 공간홍수예보 가뭄 녹조 적조 등을 감시하는 한국형 차세대 중형위성인 수자원 위성을 발사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올해 9월 한서대 태안비행장에서 수자원위성 지상모델 현장실험 및 시연회를 열고 핵심기술의 국산화와 개발 준비사항을 점검했다.

이날 시연회에는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정부 부처와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해 지상모델 제작과정을 공유하고 모의표적 및 차량 항공실험 등을 통해 홍수 가뭄 등의 감시 활용 가능성을 검증했다.

수자원위성 지상모델은 항공우주연구원 등 국내 연구진을 통해 자체 제작한 것으로 이날 현장실험에 앞서 신호발생, 송수신시험, 연동시험 등을 거쳤다.

▲ 수자원위성 예상 모형도. (출처: 환경부)

현장실험에서는 수자원위성 지상모델을 장착한 차량과 항공기를 이용해 보령댐 유역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광역관측실험을 실시해 수자원 관측에 필요한 영상품질도 검증했다.

현장실험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관측된 정보를 활용해 댐하천 유역의 물 탐지, 토양수분 산정, 수리구조물 안전성 감시 등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수자원 위성의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시스템 개발 방안을 논의했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기후위기 시대부터 안전한 물관리를 위해 홍수·가뭄·녹조 등을 효율적으로 감시하는데 수자원 위성의 역할이 기대된다”며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개발 시대를 맞아 수자원 위성개발사업을 통해 국내 민간 위성산업의 육성과 해외 수출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번 현장실험을 통해 좀 더 고품질의 영상관측이 가능하도록 지상모델을 안정화하고 내년부터 수자원위성 개발에 본격 착수해 2025년 수자원위성 발사에 성공할 계획이다.

한국 스페이스X?한컴 인스페이스

한컴그룹은 올해 9월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상반기에 지구관측용 민간 광학위성 세종1호를 발사하겠다고 밝혔다. 통신용 위성이 아닌 지구관측용 위성을 쏘아 올리는 것은 국내 민간기업 가운데 한컴그룹이 처음이다.

우주항공 전문계열사인 한컴인스페이스가 미국 스파이어글로벌과 손잡고 발사하는 세종1호는 가로 20cm, 세로 10cm, 높이 30cm, 무게 10.8kg의 저궤도 초소형 인공위성이자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이다.

▲한컴인 스페이스의 저궤도 초소형 인공위성 세종1호. (출처:한컴인 스페이스) 세종1호는 지상 500km 궤도에서 약 90분에 한 번씩 하루 1214번 지구를 선회하면서 5m 해상도의 관측 카메라로 7개 파장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계획이다.

한컴그룹은 세종1호를 시작으로 5호까지 순차적으로 위성을 발사해 앞으로 50기 이상의 군집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한컴인스페이스를 무기로 우주사업에 도전하는 한컴그룹은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 아마존 네이버와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것에 의해 우주 산업의 패러다임이 각국 정부와 공공 부문의 기술개발·투자 중심에서 민간기업·시장 중심으로 전환하는 양상이 보다 빨라질 것이라고 예측된다.

최명진 한컴인스페이스 대표는 “한국의 우주·항공산업은 해외에 비해 시장 규모나 인력 면에서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이 사실이지만, 정부가 민간 주도의 생태계 구축을 위해 많은 정책 지원에 힘쓰고 있다”며 “한국에서도 한컴뿐 아니라 다른 우주산업 추진업체들과 소형 로켓 스타트업이 이뤄지면서 곧 큰 시장이 형성돼 가까운 미래에 미국의 스페이스X와 같은 민간 기업들과 함께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초고해상도 상용 지구관측위성 개발에 나선 세트렉아이

위성 시스템 개발 및 수출기업인 사토렉아이는 올해 8월 세계 최고 해상도의 상용 지구관측위성 Space Eye-T를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새틀렉아이의 저궤도 지구관측위성 SpaceEye-T 상상도(출처:새틀렉아이)에 따르면 스페이스아이티는 30cm급 초고해상도와 12kg의 관측 폭, 그리고 무게 약 700kg의 고성능 지구관측위성이다. 30cm급 초고해상도는 우주 상공에서 도로에 있는 차량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의 해상도다. 이번 개발은 100% 자체 투자로 이뤄졌으며 개발 후에는 직접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쎄트렉아이는 국내외 사업을 통해 축적검증한 핵심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2024년 초 위성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발사 후 위성운용과 영상 상용화는 자회사인 SIIS가 담당하고, 또 다른 자회사인 SIA는 초고해상도 영상을 활용해 지구관측 분석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할 예정이다.

쎄트렉아이는,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1호」를 개발한 핵심 인력이 1999년 설립해, 지금까지 30이상의 국내외 프로젝트에 참가해 왔다. 이 회사 관계자는 쎄트렉아이의 초고해상도 지구관측시장 진출은 민간 우주산업 시대를 맞아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에 큰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본문 보기▽▽할로티 이동재 기자|지난달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로켓 누리호가 발사됐다. 비록 탑재체를 궤도에 올려놓지는 못했지만 국내 발사체의 기술력이 상당한 수준으로 축적됐다는 사실을 확인했을 뿐 아니라 민간에 우주산업 분야가 더는 먼 거리가 아님을 실감하게 하는 계기가 됐다. 9월에 스페이스 X 우주선이 민간인을 태우고 우주여행에 성공했습니다.hellot.net▽할로티를 방문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할로티는 스마트미디어그룹 (주) 첨단에서 발행하는 산업 전문 미디어입니다.hellot.ne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