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전염병 출현 시 특허 출원 동반 상승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기침 등 기관지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기관지 확장 패치제가 주목받고 있으며 관련 특허출원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기관지 확장 패치제는 기관지를 넓혀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가라앉히는 피부에 바르는 치료제다.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20년간(19992018년) 기관지 관련 질환 증상을 완화시키는 패치형 기관지 확장제로 쓰이는 약물전달기술(약물이 흡수되는 속도를 조절하거나 약물을 목표 부위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술) 출원은 모두 316건으로 점차 증가했다.

특히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 사스, 신종 인플루엔자, 메르스가 유행했던 2003, 2010, 2016년에는 출원 건수가 전년 대비 5→15건, 12→30건, 18→32건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에서 최근 10년간(2009년~2018년) 209건이 출원돼 이전 10년간(1999년~2008년)의 107건에 비해 95.3% 증가했는데 이는 패치형 제제에 대한 업계의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출원인별로는 외국인 229건, 내국인 87건으로 국내 출원인 비율은 27.5%에 그쳤다. 그러나 국내 출원인은 지난 10년간(2009년~2018년) 65건을 출원해 그 이전 10년간 출원건수 22건에 비해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국내 업계가 발 빠르게 선진기술을 추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 출원인의 분포를 보면 과거(1999년~2008년, 22건)에는 기업이 54.5%(12건)를 차지해 출원을 주도했거나 최근 10년간(2009년~2018년, 65건)은 대학 등이 58.5%(38건)를 차지해 학계 주도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호흡기 감염 질환의 기침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기관지 확장제’인 호크날린 조개 냄새(성분명 ‘tulobuterol’)는 2004년 국내에 출시됐으며 특허 만료 후 제네릭 개발이 활발히 진행돼 현재 10종 이상이 시판되고 있다.
이들 패치제제는 소아환자 등 약을 스스로 먹지 못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해 쉽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소화불량 가려움증 떨림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특허청 고태욱 약품화학심사과장은 앞으로도 호흡기 관련 전염병은 수시로 발생하고 관련 시장 규모도 커지는 만큼 패치제제의 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줄일 수 있도록 연구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특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본 기사를 보는 특허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