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 시신 5일 만에 발견돼 양주 채석장 매몰사고 마지막

발견된 천공기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 제공,

작업중 천공기 조종석 수습 매몰자 3명 수색 종료

사고원인 규명 본격화 전망 중대재해법 1호 처벌 관심

경기 양주시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 매몰사고의 마지막 실종자 정모(52) 씨가 수색 5일째인 2일 숨진 채 발견됐다.

이로써 실종자 3명에 대한 수색작업을 종료한 당국의 사고원인 규명 및 관련 수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35분께 천공기 조종석에서 숨진 정씨가 발견됐다.

정씨의 시신이 발견된 지점은 사고 발생 당시 채석을 위한 천공작업을 벌인 장소에서 남동쪽으로 약 40m 떨어진 곳이다.

당국은 이날 오전 5시 30분쯤부터 정씨가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천공기 유압장비 실린더 등을 잇따라 발견해냈다.

해당 지점 주변을 계단식으로 파고들어 수색작업을 벌였다.

결국 오후 4시 10분쯤 실종자 수색을 위한 굴착 작업 중 정씨가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천공기를 발견하고 주변의 흙을 파낸 끝에 천공기 안에서 정 씨의 시신을 수습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사망자 사망경위 조사, 부검 등 변사사건 처리를 위한

절차가 진행 중이며 이후 절차는 유족과 상의해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사망자 발견 후 침묵하려는 수색자

앞서 이번 사고로 매몰된 굴착기 운전자 김모(55)씨와 천공기 운전자의

또 다른 정모 씨(28)는 사고 당일인 지난달 29일 수색에서 이미 숨진 채 발견됐다.

그러나 마지막 실종자에 대한 수색이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추가 산사태를 막기 위한

광파반사 프리즘(토사유출측정기) 등 장비와 군용 금속탐지기를 동원해 5일째 수색작업을 벌여왔다.

결국 이날 마지막 실종자 시신이 발견됨에 따라 경찰과 노동부 등 당국은 사고 원인 규명 등에 한층 역량을 쏟을 수 있게 됐다.

특히 이번 삼표산업 채석장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 1호 사건이 될 가능성이 있어 눈길을 끈다.

양주 채석장 사고현장 금속탐지기 수색작업

1일 경기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 매몰 사고 현장에서

구조당국이 금속탐지기를 이용해 실종자를 수색하고 있다.

지난달 27일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상시 근로자 수 50인 이상 사업장에서

사망사고와 같은 중대재해가 발생하고 경영책임자의 안전관리 미흡 등이 확인되면

책임자도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노동부는 이미 지난달 31일 삼표산업 양주사업소 현장 사무실과 협력업체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현장관리소장 1명과 삼표산업법인을 입건한 상태다.

특히 삼표산업경영책임자 등이 이번 사고를 막기 위한 의무를 다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만간 기업 측에 구체적인 자료를 요구할 계획이다.

경찰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에 대한 수사를 위해 관련자를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앞서 경찰은 현장 발파팀장 1명을 형사 입건했다.

중장비 동원 실종자 수색

1일 경기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 매몰 사고 현장에서

구조당국이 중장비를 동원해 실종자를 수색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사고 경위 조사를 위해 대상자를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달 29일 양주시 은현면 삼표산업 채석장에서 석재를 폭파하기 위해

구멍을 뚫는 작업 중인 토사 30만㎥(소방당국 추정치)가

무너져 내리면서 발생해 근로자 3명이 매몰돼 숨졌다.

양주연합 최재훈 기자

error: Content is protected !!